발언 당사자인 이종걸 최고위원이 9일 트위터를 통해 재차 유감을 표했지만 진화되기는커녕 오히려 논란이 더 커지고 있다. 오락가락 해명으로 논란만 키운 상황에서 이 최고위원이 제대로 사과 입장을 표명하지도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 최고위원은 이날 “저의 본의가 아닌 표현으로 심려를 끼친 분들께 거듭 유감을 표합니다”라며 “앞으로 신중한 언행으로 활동하겠습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그러면서 “내내 따뜻함으로 함께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라고 덧붙였다.
민주통합당은 이 최고위원의 이날 유감 표명을 계기로 사태 봉합에 주력했다. 당 지도부는 막말 파문으로 겨우 잡은 호재인 새누리당 공천비리 논란이 묻힐까봐 두려워하는 분위기다.
박용진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이 최고위원이 유감의 뜻을 밝혔는데 새누리당은 이 문제를 거듭 정치공세에 이용하고 부풀리려 한다”고 역공을 폈다.
박 대변인은 새누리당이 이 최고위원을 국회 윤리위에 회부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한데 대해서도 “눈덩이처럼 커지는 공천장사 비리의혹이 박근혜 후보에게 쏠리자 이를 막기 위한 지나친 정치공세로 국민의 지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당 일각에선 이 최고위원의 유감 표명 수위가 충분치 못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공식적 사과라기 보다 유감 표시에 그침으로써 여론에 등떠밀려 마지못해 나선 듯한 인상마저 풍긴다는 지적이다.
한 중진 의원은 “상황이 이렇게까지 왔으면 좀 더 분명하게 사과의 뜻을 전하는 게 이번 사태를 깔끔하게 푸는 것”라고 말했고, 또다른 초선 의원은 “어정쩡한 태도로 사태가 해결되겠느냐”고 반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