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통신은 10일 리호림 북한 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서기장이 베이징에서 이같은 문제에 대해 일본 적십자사와 협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어느 정도 합의를 봤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리 서기장은 “진지하게 협의를 했으며, 서로의 입장을 잘 이해했다”고 말해 일본과의 협의에 진전이 있었음을 내비쳤다.
다사카 오사무(田坂治) 일본적십자사 국제부장도 기자회견에서 일본인 유골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부의 관여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북측과 인식이 일치했으나 일본인 납북 문제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조일적십자단체들 사이의 회담에 관한 보도’에서 “일본측이 요청해온 공화국령 내에 있는 일본인 유골문제와 관련해 깊이 있는 대화가 진행됐으며 인도주의 입장에서 서로의 이해를 깊이했다”고 전했다.
또 “쌍방 적십자단체들은 앞으로도 이 문제를 계속 협의해 나가며 제기된 문제들을 각기 정부에 보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한과 일본 적십자사의 공식 협의는 2002년 8월 일본인 행방불명자 안부 확인을 위한 의견 교환 이후 10년 만으로 양국은 9일부터 이틀간 협의를 진행했다.
북한은 2차 세계대전 전후 북한에 남았다가 사망한 일본인의 매장 관련 정보를 일본 측에 제공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일본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북한에 주둔하던 일본군과 종전 후 귀국하지 않은 사람 등 자국민 약 3만명이 북한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