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용부담금 남아돈다…토지매수 ‘주먹구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15 18: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매수율 35%에 매년 수백억 이월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 물이용부담금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이 돈의 상당 부분이 쓰일 곳을 찾지 못하고 이월되는 등 방만하게 운용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국회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물이용부담금 제도가 도입된 1999년부터 지난해까지 조성된 한강수계관리기금 3조9528억원 가운데 16%인 6347억원이 여유자금으로 회수됐다.

한강수계관리기금은 상류지역 수질개선과 주민지원사업 등에 쓰인다. 재원은 서울ㆍ경기ㆍ인천 등 하류지역 지방자치단체가 내는 물이용부담금이다.

연도별로 보면 2007년에 무려 1092억원이 이월됐고 2008년 906억원, 2010년에도 282억원이 남았다.

매년 상당한 액수가 사용되지 못한 채 이월되지만 물이용부담금 징수액은 2003년 2686억원에서 지난해 4309억원으로 연 평균 9%씩 증가했다.

취수량이 증가하는데다 부과율도 계속 인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자체들은 제도 도입 초기인 1999년 t당 80원을 냈지만 현재는 170원을 지불하고 있다.

물이용부담금이 남아도는 주된 이유는 상수원 구역의 수질관리를 위한 토지매수가 구체적인 계획 없이 진행되기 때문으로 입법조사처는 분석했다.

입법조사처가 최근 작성한 ‘한강 수계관리기금 관리정책의 개선방안’ 보고서를 보면 2006∼2010년 1천612건의 토지매수 신청이 들어왔지만 실제 매수 건수는 575건으로 매수율이 35%에 불과했다.

입법조사처는 보고서에서 “현재 수변구역의 토지매수에는 임의로 연간 1000억원 규모를 활용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보다 구체적인 토지매입 계획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