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국내 화장품 생산 및 수출실적 사상 최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24 14: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은 24일 작년 화장품 생산 및 수출실적이 연간 사상 최대 기록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작년 6조3856억원으로 전년보다 6.2% 증가했다. 최근 3년 동안 매년 증가세를 유지한 것이다.

다만 지난 2008~2010년 10%대 성장률을 나타냈던 것과 비교해 다소 성장이 둔화된 것으로 식약청은 분석했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 제품 생산실적이 2조7305억원으로 42.8% 급증했다.

기능성화장품이 1조6418억원으로 25.7% 늘어 2위를 기록했다. 이들 기초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은 전체 시장 가운데 68.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두발용 제품 9772억원(15.3%), 색조화장용 제품 3124억원(4.9%), 인체세정용 제품 2624억원(4.1%) 순이다.

작년 화장품 수출 규모는 8억500만 달러(8920억원)로 같은 기간 34.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수입은 16.2% 커진 9억8900만 달러(1조958억원)를 기록했다.

작년 국내 화장품 수출이 가장 많았던 국가는 중국으로 2억2868만 달러를 기록, 전체 점유율 가운데 31.7%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이 1억2168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홍콩(9251만 달러), 대만(6267만 달러), 태국(5785만달러) 순이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이 있는 업체는 모두 640개로, 전년 대비 49개 업체가 늘었다.

이들 가운데 생산규모가 1000억원 이상 10개 업체 생산실적이 4조8708억원으로 전체 76.3%를 차지하고 있었다.

업체별로는 아모레퍼시픽 뷰티사업장이 1조9921억원으로 전체 31.2%를 점유했다. 이어 LG생활건강이 1조4594억원(22.9%)로 2위였다.

식약청 관계자는 "작년 생산, 수출 및 수입실적 증가추세로 볼 때 앞으로도 화장품산업은 지속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내 화장품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화장품 GMP 및 안전관리체계를 선진화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개정 화장품법 시행에 따른 제조판매업자 등록제 및 네거티브 원료관리제 도입, 안전성에 대한 국내외 기준 강화, FTA 발효 등으로 화장품 산업환경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