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현주 기자=국립중앙극장(극장장 안호상)은 3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총 60일간 제 6회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이하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2007년 시작, 6년 동안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공연예술제로 자리잡아온 페스티벌이다.
이번 페스티벌의 주제는 ‘예술의 영원한 화두-사람, 그리고 삶’. 예술가들의 끊임없는 탐구대상인 사람과 삶의 다양한 모습이 5개국 15개 작품을 관통하며 때론 절망적으로 때론 동화처럼 행복하게 그려진다.
◆중국 예술의 거센 바람..경극에서부터 발레, 현대무용까지
'2012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은 올해 한·중 수교 20주년의 해를 맞아 중국의 전통문화인 경극부터 발레, 현대무용까지 중국의 시대와 문화를 폭넓게 반영하는 예술 작품 3편을 선보인다.
중국국립경극원의 레퍼토리 중 가장 인기가 높은 '숴린낭'이 페스티벌의 서막을 연다.
중국의 전통 혼례에서 친정어머니가 출가하는 딸에게 선물하는 복주머니인 ‘숴린낭’에 얽힌 한 편의 드라마가 서정적인 음악, 노래와 어우러지며 경극을 잘 모르는 관객들도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친근한 작품이다.
영화감독 장이모우가 연출한 중국국가발레단의 '홍등'도 2008년도에 이어 다시 페스티벌 무대에 오른다.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 강렬한 이미지가 중국 특유의 색채와 어우러진다.
중국의 세 번째 작품은 중국 홍콩현대무용단의 'K 이야기'이다. 사회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을 형상화하는 것으로 유명한 안무가 헬렌 라이가 홍콩을 강타한 사스(SARS) 이후 인간의 이기심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날카로운 관찰력으로 포착해낸 작품이다.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과 몸짓이 어우러지며 현대사회의 부조리함을 해학적으로 표현한다.
◆청춘의 고민,‘아시아초연’ 스코틀랜드<블랙워치>
폐막작은 ‘영국 스코틀랜드 국립극단’의 '블랙워치(Black Watch)가 장식한다. 이라크전쟁을 소재로 한 <블랙워치>는 2006년 영국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 초연 이후 22개의 상을 휩쓸며 3개 대륙 20만 명의 관객과 만나왔다. 스코틀랜드의 평범한 청년들이 이라크 전에 자원, 동료들의 죽음을 보며 깨닫는 전쟁과 현실을 생생히 그려내어 이라크 전 파병이라는 같은 고민을 겪어야 했던 한국청년들에게 진한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뮤지컬 <원스>로 2012년 토니상 8개 부문을 휩쓸며 최근 유럽공연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존 티파니(John Tiffany)의 참신한 무대구조와 연출력, 작가 그레고리 버크(Gregory Burke)의 실제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현장감 넘치는 스토리, 시종일관 무대를 뛰고 구르며 굵은 땀방울을 흘리는 젊은 배우들의 열정이 돋보인다. 블랙워치는 <현대카드의 컬처프로젝트 08>로도 선정되었다.
◆고전 속에서 찾아낸 불멸의 진리- 슬로바키아와 터키
2010년도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에서 <탱고>로 동유럽 현대연극의 지형을 보여준 바 있는 슬로바키아의 마틴시립극장이 이번에는 프랑스가 낳은 위대한 작가 몰리에르의 고전 <인간 혐오자>로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을 찾는다.
터키국립극장은 고대 그리스 비극작가 소포클레스 명작 <안티고네>를 택했다. 국가와 권력을 상징하는 크레온과 개인의 양심을 상징하는 안티고네의 갈등 등 심오한 내용을 다룬다.
이밖에도 9편의 국내 초청작(연극 4편, 무용 2편, 복합장르 1편, 음악 2편)이 공연되며, 국내외 공연관계자들의 예술시장인 서울아트마켓도 부대행사로 진행된다.1544-1555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