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협약은 정비업계와의 상생을 통해 과잉 수리의 부작용을 줄이고, 소비자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합의 사항은 △친환경 재생(Eco-Recycle)부품 사용 활성화 △순정(OE)부품 사용 권장 △우수 정비기술료 지급 △수리비 프로세스 개선 및 공동 교육 시행 등이다.
메리츠화재는 이 같은 방식으로 정비공장에 신사업 아이템과 새로운 수익 창출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과잉 수리 사례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비수가를 둘러싼 정비업계와의 갈등과 자동차 수리비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 해소도 기대되는 항목이다.
이국진 메리츠화재 보상혁신팀장은 “재생부품 사용을 통해 절감된 비용을 고객은 물론 정비업계와 나누면 서로가 윈윈(Win-Win)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부응하고, 선진 정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호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