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5일 기자간담회에서 “모바일 투표에 문제가 많아 다음에는 수정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에서 처음부터 방향을 완전국민경선으로 잡아서 그렇게 간 것인데 지금 방식이면 (대의원·권리당원이) 당비를 낼 이유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완전경선을 거부해서 우리의 완전국민경선이 호소력이 있었다”며 “우리가 룰을 만들 때 정세균 후보쪽만 반대했고 다른 후보들은 반대하지 않았다. (앞으로는) 좀 더 배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나는 모바일투표 결과를 지역별로 발표하는 것도 반대했지만 일부 주자들이 요구했다”며 “지방 연설회 이전에 모바일 투표를 하는 것도 결선투표 때문에 그렇게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특정세력의 모바일투표 개입설에 대해서는 “투표자가 100만명이 넘으면 미권스 등의 조직이 안 통한다”고 일축했다.
또 제주ㆍ울산 모바일 투표에서 일부 유권자에게 당규에 규정된 5회 통화시도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문제 제기에 대해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전화를 받을 때까지 5차례 가도록 돼 있다”며 “가긴 갔는데 수신을 안 했거나 수신을 거부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