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현철 기자=서울시는 11일 오후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서 저소득 밀집지역 마을공동체 사업의 하나인 공동주방 '사랑방식도락' 개소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사랑방식도락(食道樂)은 밥이 있고 책이 있어 즐겁다는 의미로 공동주방 한쪽에는 다양한 책들도 비치돼 식사 뿐만 아니라 마음의 양식도 해결 할 수 있다.
공동주방은 이곳에 살고있는 주민들이 직접 명칭부터 활용방안, 운영 방식 등을 주체적으로 정하는 마을공동체 사업으로 진행됐다.
그간 쪽방촌 주민들은 잠을 자기에도 좁은 3.3㎡ 남짓한 공간에서 밥을 지어 항상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었고, 무더운 여름엔 밥 짓는 것 조차 힘들었다.
사업은 설계도면부터 시공, 시설비까지 공동주방 조성에 뜻을 같이한 비영리 민간단체와 대학교, 기업체, 복지단체 등의 재능·성금 기부를 통해 이뤄졌다.
공동주방은 동자동 쪽방촌의 빈곤문제 해결 등에 힘써온 비영리 민간단체 동자동사랑방이 사무실로 이용하던 26㎡ 넓이의 1층 공간을 활용했다. 이정은 중앙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교수는 3번이나 무료로 설계도면을 그려줬으며 현대산업개발㈜은 리모델링 시설비를 후원했다. 쪽방촌 주민과 비슷한 처지인 기초생활수급자들로 구성된 자활 근로사업단인 서울주거복지사업단은 주방을 시공했다.
시는 쪽방촌 공동주방 조성사업을 총 9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엄병천 동자동사랑방 대표는 "서울에 있는 여러 쪽방촌에는 모두 1~2개의 공동주방이 필요할 것"이라며 "우리동네 분들이 공동주방을 알차게 꾸려서 다른 지역에도 전파될 수 있는 좋은 선례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관은 "사랑방식도락이 공동주방의 역할 뿐만 아니라 힘들게 살아가는 지역주민들이 서로 친근한 이웃으로 도와가며 살아가는 의미 있는 마을공동체 공간으로 뿌리내리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시는 지난 8월 저소득 밀집지역 마을공동체 사업의 일환으로 쪽방촌 공동주방 만들기 사업을 선정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