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친박(친박근혜) 인사는 13일 “아직 박 후보가 과거사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이나 사과 여부에 대해 정해진 게 없다”며 “그러나 대선 전 과거사 전반에 대해 차분하게 정리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이주영 대선기획단장도 지난 12일 박 후보에게 “아버지와 딸로서가 아니라 국민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도 안고 가라”로 했고, 이에 박 후보가 “내가 생각하는 바가 그것이다. 더 포용하는 방향으로 가도록 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과거사 정리 발언의 수위다. 친박계 다수는 2004년 한나라당 당 대표 시절부터 과거사 문제에 대해 사과를 해온 만큼 다른 의견 제시가 가능하겠느냐는 점이다. 반면 비박 진영에선 박정희 정권의 공.과를 제대로 털지 못한다면 향후 대권 행보에 최대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다.
친박계 한 의원은 “이미 어제 대변인을 통해 박 후보는 사실상 사과를 한 것”이라며 “피해자의 아픔을 깊이 이해하고 진심으로 위로를 드렸다는 말 자체가 사과 아니냐”고 반문했다.
또 다른 의원은 “박 후보는 이미 아버지 시절의 잘못과 피해를 입은 분들에게 대해 30년 가까이 사과했다”며 “역사 문제를 때만 되면 정치적 잣대로 다루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2004년 7월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박 후보의 유신 사과가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과반(56.6%)을 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비박계 한 인사는 “5.16은 쿠데타라는 식으로 확실히 인정하면서도 박정희 정권의 공적도 많다는 식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반박했다.
나아가 경선 캠프 당시 박 후보를 보좌하며 일했던 실무진들 사이에서도 비판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한 당직자는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아들의 병역면제 의혹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논리로 대응하다 결국 실패했는데, 이번 논란을 보면서 그 기억을 떠올렸다”며 “이대로 가선 안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박 후보가 이번 논란을 계기로 하루빨리 ‘박정희의 딸’을 벗어나 보다 더 객관적인 입장에서 과거사를 평가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