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사업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에 따르면 토지주인 코레일은 출자사 30여곳에 "17일 오후 드림허브 이사회를 열어 사업 정상화를 위한 구조개편안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통보했다.
발표된 구조 개편안의 핵심 내용은 사업 시행사 역할을 맡은 용산역세권개발㈜의 최대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의 지분 70.1% 중 45.1%를 코레일이 넘겨받겠다는 것이다. 45.1%의 지분은 삼성물산이 2010년 손 뗀 이후 롯데관광개발이 임시 보유 중이다.
AMC의 관계자는 "이 지분은 삼성물산을 대신할 시공 건설회사가 참여하면 넘겨주기로 한것"이라며 "롯데관광개발에서 아무 성과를 못내 코레일이 직접 지분을 가져오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코레일은 옛 삼성물산 지분을 매입함으로써 용산역세권개발㈜을 직접 경영해 사업을 정상화한 뒤 대표 건설사를 선정해 이 지분을 넘겨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은 자금조달 문제 등에서 갈등을 빚었다. 우선 코레일이 지난 6월초 주주 책임강화를 위해 1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제안했다 롯데관광개발을 중심으로 대주주들이 강력한 반대를 펼쳐 결국 무위에 그친 바 있다.
또한 지난 10일 드림허브의 주주총회에서는 외부투자 자본 1조6000억원을 유치해 1조4000억원인 자본금을 3조원으로 증액하는 내용의 정관변경 안건이 상정됐지만 이도 롯데관광개발 등의 반대때문에 부결로 결정됐다.
이밖에도 롯데관광개발은 AMC 최대주주면서도 외부자본 유치를 한 차례도 못하는 등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코레일은 이같은 점 때문에 최대주주 교체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은 이번 안이 이사회서 무산되면 향후 사업에 관여 않겠다는 입장이다. 코레일은 작년 자금난에 빠진 용산역세권 개발 정상화를 위해 토지매입 비용 8조원 중 5조3000억원의 납부를 준공 1년 전후까지 늦춘 바 있다.
이 사업의 한 관계자는 "차입금에만 의존하는 현재 사업구조로는 투자자가 몰려들 수 없어 지난번 증자안을 제안했지만 관철되지 않았다"며 "롯데관광이 지분율이 높다는 이유로 마음대로 사업진행을 행해 의사결정 구조를 바꾸고자 한다. 앞으로 자금을 확충해 신뢰성 있는 자본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