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는 26일 '바꿔드림론' 이용자 6만20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인 '신용도 및 대출, 소득간 관계성 분석'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바꿔드림론은 서민들이 대부업체 등에 부담하는 연 20%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캠코 신용회복기금의 신용보증을 통해 연 11% 수준의 시중은행 대출로 전환해주는 서민금융제도다.
보고서에 따르면, 바꿔드림론 이용자 중 신용 5등급자의 경우 소득대비 대출비중이 56.5%로 9~10등급(55.7%)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전체에서 5등급은 1.9%의 규모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신용 5등급자는 과다대출로 향후 저신용층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특히, 통상적인 서민금융제도가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6등급 이하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신용 5등급자는 이러한 서민금융제도에서 배제되고 있다"면서 "신용 5등급을 중심으로 신용 중간 계층을 확대함으로써 부채의 질적구조 악화를 사전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저신용층은 신용등급이 동일한 경우 소득이 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업체만 이용한 바꿔드림론 고객들은 대부업체를 전혀 이용하지 않은 고객보다 소득수준과 대출금액이 낮게 나타났다.
실제로 대부업체만 이용한 고객 가운데는 신용도가 4등급 이상으로 은행대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소득이 낮아 대부업체를 찾는 고객들이 많았다. 게다가 이들은 필요자금을 한번에 대출받지 못하고 여러 차례에 걸쳐 대출을 받아 결국 다중채무자가 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신용등급에 따라 동일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는 소득 및 신용보강을, 과다부채의 경우 저금리 전환대출 및 원금 장기분할상환 등 수요자를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동일한 신용등급이라도 신용하위등급(subprime) 세분화를 통해 저신용층의 금융서비스 이용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부업체의 신규대출은 생활비를 충당하려는 목적이 전체 절반(50.9%) 이상을 차지하므로, '캠코 두배로 희망대출' 등 1000만원 이하의 소액대출 프로그램도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