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보건복지부가 보건복지위 남윤인순 민주통합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고위험 산모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 고위험 산모 수는 19만 3000여 명으로, 전체 산모(45만 7000여 명)의 42.3%를 차지했다. 고위험 산모 비율은 2008년 39.7%·2009년 40.4%·2010년 42.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고위험군 산모는 산모 및 태아의 이상으로 자연분만에 어려움이 있어, 제왕절개분만을 시행할 확률이 높은 산모를 말한다.
고위험 산모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4만 3000여 명·46.5%)이었으며, 경북(6800여 명·36.9%)이 가장 낮았다.
남윤인순 의원은 "고위험 산모 증가에 따라 중증질환 신생아가 증가하고 있으나,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시설 및 체계는 미흡하다"며 "2010년 모성 사망비는 14.7명(출생아 10만명 당)으로 OECD 최고 수준" 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보건복지부의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은 2011년 3곳, 2012년 4곳 수준으로 분만취약지 51곳 중 44곳이 방치돼 있다"며 "전문화된 분만 진료능력과 미숙아 신생아 진료능력이 통합된 '고위험 분만통합치료센터'를 설치해야 한다" 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