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후보는 이날 대전 카이스트에서 과학인들과 간담회를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다 때가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후보의 발언은 최근 당내에서 불거진 ‘지도부 총사퇴론’ 등 큰 폭의 인적쇄신 요구를 최경환 의원의 비서실장직 사퇴로 매듭짓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누구를 탓하고 누가 잘못됐다고 하기 전에 자신의 몫부터 다하면서 선거를 승리로 이끌고 그렇게 해야지, 여기서 판을 다 뒤집어갖고 어떻게 선거를 치를 수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박 후보는 카이스트 방문에 앞서 충북 언론사 보도·편집국장과의 오찬간담회에서도 “선거가 내일모레인데 막바지에 모든 것을 교체하자며 흔들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저의 분명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또 “선거를 치르고 난 뒤 모든 것을 새롭게 시작하자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당을 위해서라고 받아들이기 어렵다”면서 “자기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위기 상황 때는 항상 당이 시끄러웠다”며 “내부 권력과 자리싸움이 있는 것이 정치권의 특징”이라고 말해 이번 인적쇄신을 내부 자리다툼으로 규정했다.
박 후보는 한광옥 전 민주당 상임고문이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임명될 경우 사퇴하겠다는 이날 안대희 당 정치쇄신특위위원장의 기자회견에 대해 “회견의 말씀을 보고 제가 안 위원장과 대화를 한번 해보겠다. 그리고 나서 말씀드리겠다”며 입장을 유보했다.
경제민주화를 둘러싼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이한구 원내대표와의 갈등에 대해서는 “두 분이 잘 판단하시리라고 본다”면서도 “김 위원장도 많이 도와주려고 들어오신 것이라 잘 판단해주실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박 후보는 이날 오전 충북 대선선대위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통해 “당내 계파갈등이 없는 새로운 모습을 국민께 보이고, 모두가 당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단합을 주문했다.
그는 “벼가 튼튼하게 무르익으려면 여름 내내 뙤약볕, 장맛비를 이겨내야만 하고, 가을 새벽의 찬이슬도 참아내야 한다”며 “어떤 일이든 크게 이뤄야 하는 일에는 쉬운 일이 없다”고 역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