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 프랜차이즈 초고속 성장…대기업 독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0-14 09: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제빵 프랜차이즈 초고속 성장…대기업 독식

골목 빵집을 몰아내고 프랜차이즈 제빵업체들이 초고속 성장하고 있다. 인테리어 계약 강요 등 부작용도 많아 가맹점주들의 피해 또한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낸 자료를 보면 2009년 말 3천855곳이었던 제빵 분야의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지난해 말 5천883곳으로 2년 새 무려 2천곳이 늘었다.

   제빵 프랜차이즈도 `대기업 독식' 현상이 심각하다. 이들은 초고속 성장을 이어가며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파리바게뜨'를 운영하는 파리크라상은 2009년 7천833억원이었던 매출이 지난해 1조3천126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221억원이었던 순이익도 442억원으로 곱절로 불었다.

   가맹점 수는 1천762개에서 2천675개으로 1천개 가까이 늘었다. 파리바게뜨는 제빵, 치킨, 피자, 음식점 등을 통틀어 모든 프랜차이즈 중 최대 가맹점 수를 자랑한다.

   `뚜레쥬르' 브랜드의 CJ푸드빌도 같은 기간 매출이 5천877억원에서 7천382억원으로 늘었다. 가맹점 수도 1천63개에서 1천401개로 2년새 40% 성장했다.

   두 회사의 가맹점 수를 합치면 4천76개로 전체 제빵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5천883곳)의 70%에 달한다.

   제빵 프랜차이즈의 급성장은 적지 않은 부작용도 낳고 있다.

   가맹본부들은 신규 가맹점에 특정 인테리어업체를 강요하기 일쑤다. 개별적으로 시공하더라도 감리비 등의 명목으로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 파리바게뜨가 이러한 명목으로 받는 돈은 가맹점당 330만원, 뚜레쥬르는 500만원에 달한다.

   공정위는 가맹점에 정기적인 리모델링을 강요한 혐의로 다음달 파리크라상을 제재할 방침이다.

   개별 가맹점의 수익성 악화를 고려하지 않고 가맹점 수를 급격히 늘리는 것도 문제다.

   가맹점 간 영업 간격이 좁아져 브랜드 희소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파리바게뜨 가맹점 수는 2년 새 1천개, 전체 제빵 프랜차이즈는 2천개 가량 늘어났다.

   민주통합당 김기준 의원은 "베이비부머의 은퇴로 창업전선에 나서는 사람들이 쏟아지는데 대형 프랜차이즈의 횡포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공정위의 철저한 조사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