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군인권센터가 입수해 공개한 육군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27일 숨진 훈련병 A(22)씨는 행군을 8시간 앞둔 26일 정오께 소대장에게 속이 안 좋고 숨이 가쁘다며 군장 무게를 줄여달라고 했다.
소대장은 훈련병을 의무대로 보냈지만 군의관은 특별한 이상이 없다며 그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그는 정상적인 군장을 메고 32km 행군에 들어갔다.
행군을 하면서 훈련병 A는 여러 번의 구급차 신세를 졌고, 동료의 부축을 받았지만 결국 행군을 마치지 못한 채 부대에 조기 복귀했다.
훈련병 A가 부대 막사에서 쓰러진 시간은 오전 4시10분경. 체온이 40도까지 오르자 부대 상사가 군의관에게 상태를 보고했고, 지시대로 수액을 투여했지만 열은 내리지 않았다.
신 훈련병은 이후 대대 의무대에서 사단 의무대, 육군 병원인 경기포천일동병원, 의정부성모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그날 오후 4시30분 숨을 거두었다.
사인은 ‘횡문근융해증’ 및 ‘급성신부전증’으로 의료진은 극심한 운동으로 파괴된 근육조직이 혈관과 요도를 막아 신부전증으로 발전, 사망했다는 소견을 내놨다.
육군은 사망한 훈련병을 일병으로 1계급 특진하고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치했다.
한편, 작년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뇌수막염으로 고열을 호소하는 훈련병에게 해열제만 처방했다가 숨진 사건이 발생한 데 이어 또한번 군에서 제대로 된 대처를 하지 않아 사망사고가 발생해 군의 허술한 신병 및 의료 관리 체계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