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31일 오후 2시30분 박원순 서울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안전통합상황실' 개소식을 갖는다고 30일 밝혔다. 박 시장은 현판 제막식을 갖고, 상황실을 살필 계획이다.
![]() |
▲서울시 신청사 지하3층에 '서울안전통합상황실'이 구축돼 31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사진 = 서울시 제공] |
면적이 472㎡에 달하는 통합상황실은 지진·전쟁 등 유사시에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진특등급, 화생방 방호시설 1등급시설로 설계됐다. 내부에는 대형 모니터 45대(70인치 21대, 46인치 24대)로 구성된 대형 상황판이 설치돼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위기의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상황실에서는 그동안 5개 기관이 제각각 운영했던 817대의 CCTV 영상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어서 대형재난의 대비에 용이하다. 시는 오는 2015년까지 자치구에 설치된 1만9000여 대의 CC(폐쇄회로)TV를 통합해 시내 전 지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상황실 내에 '멀티존'을 설치·운영해 각종 위기상황이 발생할 경우 비상대책회의 장소로 사용한다. 다만 평소에는 상황실을 통해 시내 주요도로 차량정체나 교통사고 등을 관찰해 정보를 제공하고 시민들이 통합상황관리를 체험하는 공간으로 활용한다.
이로써 시는 ▲홍수·산사태 등 재난대응 ▲교통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및 상황 발생시 정보제공 ▲을지연습 등 충무상황 발생시 전시행정 전환 등 도시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더불어 시설 공동 사용을 통해서 연간 9억원의 예산 절감도 전망된다.
![]() |
▲서울시 신청사 지하3층에 '서울안전통합상황실'이 구축돼 31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시는 상황실 내에 '멀티존'을 설치·운영해 각종 위기상황이 발생할 경우 비상대책회의 장소로 사용한다. [사진 = 서울시 제공] |
서울시 김병하 도시안전실장은 "신청사 지하 3층은 핵폭탄이 터져도 안전하게끔 설계됐다"며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체계로 긴급 상황 속에서도 시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도시안전망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통합상활실은 다음달 15일 제설안전대책본부 운영을 시작으로 서울 안전의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