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사회통합을 위한 하나로 정책포럼’ 이후 토요일인 지난3일에도 공개일정을 잡지 않은데 이어 이틀째 고심을 이어가고 있는 것.
박 후보는 이번 쇄신안 및 정책 발표를 통해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의 단일화 이슈로 인해 상대적으로 여론의 집중도에 반전을 가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발표될 쇄신안에는 개헌 문제의 포함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지난 31일 당 정치쇄신특위 안대희 위원장이 “곧 박 후보가 직접 정채쇄신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한 데 이어 지난 2일 박 후보가 “정치쇄신안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4일 박 후보가 직접 쇄신안을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구체적 내용으로 △정치구조개혁안 △권력형 부정부패 척결안 △권력기관 신뢰회복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정치구조개혁안은 당 대표·최고위원 직선제 폐지, 원내대표가 당 대표 역할을 하는 당 중심의 당 운영, 시·도당 권한 확대 등 중앙당의 기능을 축소하는 방안이 담길 전망이다.
또 권력형 부정부패 척결안은 정치쇄신특위가 발표했던 특별감찰관제와 상설특검 도입을 포함해 상설특검이 기소한 사건을 다루도록 법원에 특별재판부를 구성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특위는 이와 관련, ‘특별검찰청’을 신설해 수사범위를 특별감찰관이 조사한 사건, 국회에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수사를 요청하는 사건 등으로 하는 내용을 박 후보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력기관 신뢰회복 방안으로는 검찰과 경찰의 쇄신안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검찰에서 50명 이상인 차관급 직책을 줄이고, 순경 출신 일부에게 경찰대 진학의 길을 터주거나 경위 승진연한을 줄여 경찰대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