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부부 10% 따로 산다…자녀교육·직장때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1-08 08: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울시, '통계로 보는 서울시민 가족생활' 자료 발표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서울 부부 10쌍중 1쌍은 직장과 자녀 교육 등으로 따로 떨어져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통계청의 1995~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해 만든 '통계로 보는 서울시민 가족생활' 통계 자료를 8일 발표했다.

이 통계 자료에 따르면 유배우 가구 중 비동거부부가구의 비중은 1995년 5.8%에서 2010년 9.5%까지 늘었다. 가구수로 보면 같은 기간 13만1000가구에서 2010년 21만1000가구로 15년간 61.1%(8만여 가구) 늘었다.

자료를 제작한 서울시 행정국 관계자는 "이러한 현상은 직장과 자녀 교육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실제 2010년 타지에 사는 가족이 있는 비동거가구는 전체 가구의 10.8%에 해당하는 38만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16만8000가구(44.2%)가 '직장', 13만1000가구(34.5%)가 '학업'을 이유로 가족이 따로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에는 전체 비동거부부가구의 39.8%인 8만4148가구가 1인가구였다. 40~50대가 54.9%(4만6196가구)로 1인가구가 가장 많았고 60세이상 25.6%(2만1515가구), 30대이하 19.5%(1만6437가구) 순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시 비동거가구 관련 통계 자료 [자료 = 서울시 '통계로 보는 서울시민 가족생활']


남녀 모두 결혼 연령이 늦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여성은 결혼적령기로 꼽혔던 25~29세 미혼율이 1995년 40.1%에서 2010년 2배인 80.2%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30~34세 미혼율은 11.2%에서 4배에 가까운 41.7%로 뛰었다.

남성도 30∼34세 미혼율이 24.4%에서 58.9%로, 35∼39세는 8.1%에서 32.5%로 대폭 증가했다.

이같은 현상과 청장년층(25~49세) 미혼 증가, 장년층(40~59세) 이혼 증가 등 혼인 상 태 변화에 따라, 서울의 유배우가구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통계 결과도 나왔다.

서울의 유배우가구는 1995년 227만3227가구에서 꾸준히 감소해 2010년에는 222만807가구로 2.3%(5만2420가구) 줄었다. 아울러 전체 일반가구 중 배우자가 있는 가구 비율은 1995년 76.6%에서 2010년 63.4%로 줄었다.

반면 같은기간 미혼 가구는 1995년 37만4347가구에서 지속적으로 늘어 2010년에는 70만4663가구로 15년 새 88.2%(33만316가구) 증가했다.

이혼가구는 같은 기간 7만7720가구에서 26만789가구로 235.5%(18만3069가구) 증가했으며, 사별가구 역시 같은기간 32.2%(7만7540가구) 늘었다.

이혼구성비는 미혼과 유배우 구성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율은 낮지만, 남녀 모두 40~50대와 60대 초반에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995년 85만5876가구이던 1인·한부모·조손(조부모와 손자녀) 가구는 2010년 164만8842가구로 15년간 92.6%(79만2966가구) 늘었다. 1인 가구 47만2582가구, 한부모 가구 10만2147가구, 조손 가구 8246가구 순이다.

▲서울시 세대구성별 가구 수 추이 [자료 = 서울시 '통계로 보는 서울시민 가족생활']


1인·한부모·조손 가구의 증가와 달리 '부모+미혼자녀' 가정과 3세대 이상 동거 가정은 같은기간 181만9195가구에서 153만9080가구로 15.4%(28만115가구) 감소했다.

고령화 및 가치관 변화로 가족 생계를 책임지는 65세 이상 가구주는 1995년 18만1394명에서 2010년 2.9배인 52만7590명으로 증가했으며, 65세 인구 중 가구주 비율은 같은 기간 42.1%에서 56.8%로 늘었다.

미혼과 학업연장, 취업지연 등으로 자녀의 독립이 지연되며 부모와 함께 사는 30대 미혼자녀는 1995년 9만3559명에서 2010년 3.4배인 32만2313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2010년 현재 30대 전체 미혼인구 65만6814명 중 28.8%는 홀로 살고, 13.1%는 가족 외 다른 사람과, 9.1%는 친인척이나 형제·자매와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65세 이상 가구주 및 65세 이상 중 가구주 비율(왼쪽), 서울의 30대 미혼인구 및 거주형태 분포 [자료 = 서울시 '통계로 보는 서울시민 가족생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