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조병철 세브란스병원 폐암전문클리닉 교수팀이 하상준 연세대학교 교수팀과 함께, 난치성 폐암의 표적치료를 위한 2세대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표적치료제 개발의 주요 기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연간 2만 여명의 폐암환자가 새로 발생하며, 국내 폐암 환자 종양의 30% 가량은 EGFR 돌연변이를 갖는다.
특히 1세대 EGFR 표적 치료제인 이레사나 타세바에 매우 좋은 초기 반응을 보이나, 평균 8-10개월 후에 획득 내성을 보이게 된다.
때문에 2세대 EGFR 표적치료제 개발은 1세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획득 내성 개발에 집중돼 있다.
연구팀은 표적 치료제 내성 폐암 세포주와 생쥐 모델을 이용,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내성 기전으로 'IL-6/JAK/STAT3' 신호 전달 체계가 활성화됨을 확인했다.
또 이 신호 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의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것도 알게 됐다.
이는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해 폐암 세포가 빠르게 원발 내성(de novo resistance)를 획득하며, 이에 IL-6/JAK/STAT3 신호 전달 체계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난치성 폐암 모델에서 IL-6 또는 JAK 단백질 억제 시 EGFR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원발 내성의 발현을 억제해 항종양 효과를 증가시켰다.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 또한 더욱 높아져, 효과적인 표적 치료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의 폐암 치료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조병철 교수는 "아직까지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은 EGFR 표적 치료제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연구를 진행할 것" 이라며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 기전을 억제해 표적 치료제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계속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