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최근 열린 서민금융상담 행사에서 한 소비자와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연말로 접어들고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자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친서민정책 강화 활동이 새삼 주목 받고 있다. 처음에는 짧은 시간 안에 지나치게 많은 대책을 쏟아내는 것 아니냐는 불만과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금융감독 체계 개편 가능성이 거론되는 시점에서 김 위원장의 강한 추진력이 오히려 효율적이었고 옳았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22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올해 가계부채 문제 해결 등을 위해 다양한 대책과 금융상품을 제안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나름대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8월 김 위원장은 금융지주사 회장들과 만나 금융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당시 논란이 되던 CD(양도성예금증서)금리 및 가산금리 결정 체계를 비롯해 금융소비자 보호, 가계부채 관리 등에 대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자리였다.
그리고 이날 모임이 끝난 후 금융지주사를 비롯한 계열 금융회사들은 각각 서민금융 지원방안을 속속 내놓기 시작했다. 다양한 서민금융상품도 쏟아졌다.
또 지난 9월 24일에는 '서민금융의 날 행사'가 개최됐다. 단순히 서민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날이 아니라 '1397 서민금융 다모아 콜센터' 개소식을 겸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행사였다. 서민금융 상담 전용 콜센터(대표번호 1397)를 통해 서민들의 금융 애로사항을 쉽고 빠르게 접수하고 도움을 주겠다는 김 위원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사실 김 위원장의 진두지휘 하에 서민금융 대책과 상품들이 쏟아졌을 때 실효성에 대해 반신반의 하는 이들도 많았다. 특히 지나친 서민금융 강화로 은행의 수익성이 더 악화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컸다.
하지만 대선을 앞두고 금융감독 체계 개편과 금융위원회 해체 가능성이 거론되자 김 위원장의 발빠른 행보가 빛을 보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서민대출상품 등을 강화하면서 은행의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도 있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볼 때 서민금융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었던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실 대선이 코 앞으로 다가올수록 금융당국이 새로운 정책을 펼치기 쉽지 않다"며 "김 위원장이 선제적으로 친서민 정책을 추진한 것은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대선이 가까워지자 김 위원장은 대외 행보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선 후보들 사이에서 금융위 해체설이 처음 제기됐을 때만 해도 김 위원장은 "바꾸는 게 능사는 아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김 위원장도 '소신 발언'을 아끼는 듯 하다. 결국 대선 및 정권 교체를 앞두고 김 위원장이 신중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비록 대선을 앞두고 정부와 기업의 고위 인사들의 대외 행보와 발언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김 위원장이 가계부채를 해결하고, 서민금융을 강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나서 고군분투 했던 점은 높게 평가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