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변인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에 출연, “조금 기자들이 취재하는 과정에서 넘겨짚은 부분이 있는 것 같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박 후보 본인도 ‘비례대표 사퇴’ 문제에 대한 고민을 현재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박 후보가 5선 국회의원이기 때문에 비례대표를 사퇴한다는 것은 가장 익숙한 국회의원이라는 옷을 벗는 것이다.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겠지만 새로운 일에 대한 각오, 다짐을 스스로 다지고 그런 결의를 보여주는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일부 언론은 박 후보가 이날 대구·경북을 방문해 비례대표 의원직 사퇴 의사를 밝힐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박 후보는 대선후보 등록일인 25~26일경 비례대표 사퇴 입장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비례대표의 경우 대선 후보로 등록하더라도 사퇴해야할 의무는 없다.
다만 박 대변인은 박 후보의 비례대표직 사퇴가 야권후보 단일화에 대한 ‘맞불’ 성격이라는 분석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박 후보나 새누리당은 야권이 벌이고 있는, 이른바 국민의 눈과 귀를 잡는 이벤트엔 이벤트로 대응하지 않겠다는 게 우리들의 방침”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그러면서 “박 후보는 당연히 대통령 후보로 나서는 과정에 있어 거쳐야 할 하나의 과정으로 보고 있다”며 “이것이 무슨 이벤트로 대응하겠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발표가 되는 시점에 다시 한 번 얘기 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변인은 절충안과 최종안을 주고받은 야권후보 단일화 협상에 대해 “정말 쉽지 않은 상황으로 가고 있다”면서 “새누리당의 대변인 얘기에 앞서 국민 한 사람으로서 굉장히 지켜보기가 민망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들 앞에 ‘유불리를 안 따지고 가겠다’고 선언했던 것이 불과 얼마 안 됐고, ‘새정치 공동선언’이라고 거룩한 이름을 갖고 합의문까지 발표했지 않느냐”면서 “그런데 어젯밤에 안철수 캠프 측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의 기자회견 하는 것을 봤더니 굉장히 불신의 수준이 높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제까지 (문재인, 안철수) 두 분이 정말 거룩한 말씀과 표현으로 얘기한 것은 선의로 포장된 위선의 경쟁이었다”면서 “권력에 대한 집착, 권력에 대한 강한 집념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ㅊㄴ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