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대표는 지난 1997년과 2002년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 후보로, 2007년 무소속 후보로 세 차례 대선을 치른 보수층의 대표적인 정치인이며, 충청권에서 적잖은 지지세를 갖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보수대통합론’을 주장해 온 이 전 대표가 박 후보에 대한 지지선언을 할 경우, 초박빙의 대선국면에서 보수층 결집과 충청권 표 확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23일 “지난 추석 때부터 박 후보 측과 이 전 대표 측의 물밑 접촉이 있어왔다”며 “이 전 대표가 내일(24일) 박 후보에 대한 지지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07년 대선에 무소속 출마한 이 전 대표는 박 후보의 지지를 얻기 위해 그의 삼성동 자택을 세 차례나 방문했지만 만남을 거부당한 ‘악연’이 있다. 당시 이 전 대표는 15.07%의 득표율로 낙선했다.
박 후보는 지난 21일 시내 모처에서 이 전 대표를 한 차례 만났고, 이 전 대표는 서운한 감정을 푼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과거 한나라당 시절 이 전 대표와 가까웠던 황우여 대표와 김무성 중앙선대위 총괄선대본부장 등도 이 전 대표를 만나 박 후보에 대한 지지선언을 요청했다는 후문이다.
양측은 24일로 예정된 이 전 대표의 지지선언 형식 등을 놓고 최종 조율에 나선 상태다.
이 전 대표에 대한 예우 등을 감안해 두 사람이 시내 모처에서 회동한 뒤 지지선언을 위한 기자회견을 갖는 방식, 이 전 대표의 지지선언에 박 후보가 배석하는 방식 등이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