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경수 기자= 날이 추워졌다. ‘겨울 골프’의 이모저모를 문답으로 알아본다.
▲겨울에도 스윙이 제대로 되는가: 영하의 날씨에서는 옷을 껴입게 마련이다. 몸이 둔해진다는 얘기다. 몸통 회전이 잘 안되며 스윙도 완전하게 이뤄지지 않는다. 따라서 겨울에는 풀스윙보다는 ‘스리 쿼터’(¾) 스윙이 바람직하다. 그 대신 한 두 클럽 긴 클럽을 잡으면 원하는 거리를 맞출 수 있다.
▲옷을 껴입으면 스윙이 잘 안되기 때문에 춥더라도 얇은 옷차림으로 라운드하고 싶은데: 겨울에는 방한(防寒)이 스윙보다 우선이다. 추워서 몸이 떨리면 스윙은 더 안되는 법이다. 스윙을 완전하게 할 수 없을 지라도 추위는 피하고 볼 일이다. 가볍고 얇으면서도 보온이 잘 되는 골프의류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그런 옷을 껴입으면 스윙하는데 그다지 거북하지 않다. ‘속옷-목폴라셔츠-바람막이-스웨터’ 순으로 덧입는 것이 효과적이다.
▲언 땅에서는 어떻게 샷을 해야 하는가: 땅이 얼어있을 경우 클럽헤드가 지면을 맞히면 몸에 충격이 온다. 부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 따라서 ‘스루 더 그린’(플레이중인 홀의 티잉그라운드와 그린,코스내의 모든 해저드를 제외한 곳)에서는 볼을 쓸어치는 것이 바람직한 자세다. 프로들이 아이언샷하듯이 찍어치지 말라는 얘기다. 특히 ‘뒤땅치기’를 조심해야 한다. 우드샷을 하는 것처럼, 빗자루로 지면을 쓸듯한 동작이 권장된다.
▲어프로치샷을 하는데 그린이 꽁꽁 얼어있을 경우 어떤 전략이 유효한가: 이런 그린에서 볼을 그린에 떨어뜨리면 볼은 통 튀어 그린을 오버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볼을 그린앞 프린지에 떨군다음 굴러서 홀을 향하도록 하거나 아예 처음부터 볼을 굴려치는 러닝 어프로치샷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리거나 낮게 날아가는 샷을 할 때 특별히 조정해야 할 부분은?: 칩샷이나 러닝 어프로치샷을 할 때, 맞바람속에 궤도가 낮은 아이언샷을 구사할 때에는 볼을 평상시보다 오른발 쪽에 놓는 조정이 필요하다. 그러면 클럽헤드의 로프트가 더 작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므로 볼은 낮게 떠 날아가게 된다.
▲그린은 얼어있고 그린 바로 앞에 벙커가 있을 경우는?: 어려운 상황이다. 곧바로 그린을 노리자니 볼은 그린을 훌쩍 넘을 것이고, 그린앞에 떨궈 굴리자니 까딱 잘못하면 볼은 그린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땐 벙커를 피해 우회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 1타 더하는 공략법이지만, 다음 어프로치샷을 잘 하면 그 1타를 세이브할 수 있다.
▲모래도 얼어있어 벙커에서 ‘폭발샷’을 할 수 없을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퍼터로 처리하는 것이 차선책이다. 턱이 높아 퍼터로 칠 수 없다면 피칭웨지나 쇼트아이언을 들고 칩샷을 하듯이 볼부터 맞히는 수밖에 없다. 턱이 너무 높아 그것도 여의치 않다면 그린 반대방향(티잉그라운드쪽)으로 ‘후진’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겨울철 그린 스피드는 종잡을 수 없는데: 아침에는 서리나 이슬때문에 그린에 습기가 많아 잘 안 구른다. 평상시보다 강하게 쳐주어야 원하는 지점까지 볼을 보낼 수 있다. 그러나 해가 날수록 그린이 건조해져 볼은 잘 구르기 때문에 시시각각 그린 상태를 관찰해두는 것이 좋다. 어프로치샷을 한 볼이 그린에 떨어진 뒤 튀어오르는 것을 보고 그린이 딱딱할(빠를)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겨울철 그린은 대체로 느리다.
▲겨울에 베스트 스코어를 내려고 하는데: 최상호프로는 “겨울에는 다른 계절보다 2∼5타가 더 나온다”고 말한다. 볼의 바운스를 예측할 수 없는데다 의도한대로 테크닉이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최프로는 “겨울 골프는 즐긴다는 자세로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인다. 겨울에 베스트 스코어를 내려는 생각을 하지 말고, 동반자들과 야외에서 즐긴다는 자세를 가지라는 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