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3~4일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사사고 터널과 유사한 환기방식을 갖춘 남산 1·2·3호터널, 홍지문터널, 구룡터널, 정릉터널 등 6곳을 점검했다.
시는 서울 6개 터널의 환기방식은 콘크리트 천장 위쪽에 배기가스 환기용 덕트를 만든 구조여서 환기용 덕트 구조물과 송풍기의 고정시설을 중점적으로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점검한 결과 사사고터널은 터널 환기용덕트를 터널 상부에 철판과 앵커볼트로 연결한 구조로 사고에 취약했으나, 서울의 터널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환기용 덕트 구조물을 일체화된 형식으로 건설돼 안전한 상태였다고 시는 강조했다.
한편 시에 따르면 서울에는 총 37곳의 터널이 있다. 이중 A등급 터널이 6곳, B등급 터널이 31곳으로 모두 안전한 상태다. 이 중 30년 이상 된 터널은 사직터널 등 총 9곳이다.
전용형 서울시 도로시설과장은 "일본 사사고터널 붕괴사고는 터널 천장에 설치된 두께 8㎝급 콘크리트 천장판이 110m 무너져 9명이 사망한 사고"라며 "노후한 작은 볼트 하나가 큰 사고로 이어진 일본의 터널 붕괴사고를 보면서, 더 꼼꼼한 관리를 실시해 시민 모두 안전한 터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서울시 터널 현황 [자료제공=서울시]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