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연극협회(대표 이승옥)는 이같이 선정발표하고 오는 9일 오후 3시 서울연극센터에서 시상식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2012년 하반기 심포지엄>과 함께 열린다.
한국여성연극협회는 지난 1998년 극작가 박현숙씨의 제1회 뉴욕세계여성극작가대회참가를 계기로 1994년 <한국여성연극인협의회>로 출범했다. 올 해 비영리법인으로 등록하면서 <한국여성연극협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희곡상을 수상한 최명희씨는 서강대 영어영문학과 출신으로 1980년 <현대문학>에서 희곡<미소짓는 꿈>으로 등단했다. 그 이후 <길몽>, <안개의 성>, <반가워라 붉은 별이 거울에 비치네(허난설헌)>,<오해> 등의 많은 작품을 무대에 올린 대한민국 1세대 희곡작가다.
학술상의 김방옥씨는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로 각종 연극관련 전문지에 연극평을 싣고 있으며 평론집으로 <열린 연극의 미학> <21세기를 여는 연극: 몸, 퍼포먼스, 해체> 등이 있다. 한국연극의 미학과 동시대 연극미학에 관한 글을 주로 쓰고 있다.
연출상의 최강지씨는 국내 최초 프랑스 유학파로연극 <천연기념물 쟝>, <북회귀선>, <다 까 포>, <굿모닝 배뱅이> 등으로 다양한 이슈를 만들어냈었다. 강동구립극단 상임 연출을 지낸 바 있으며 현재는 <극단 판>과 <최강지 액터즈 스튜디오>의 대표로 있다.
연기상의 우상민씨는 <노래하는 늙은 부부 이야기>, <그대를 사랑합니다>, <부활 더 골든 데이즈>, <사운드 오브 뮤직>, <넌센스>, <산불>, <밤으로의 긴 여로>외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으며 서울 공연 예술제 여자 연기상과 기독교 문화상을 수상한 바 있다.
무대예술상의 손진숙씨는 연극계 대표적인 분장, 의상디자이너로 중앙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에서 무대분장과 무대의상을 전공한 후 한국으로 돌아와 연극<사랑신조>, <춘향전>, <물보라>, <어린왕자>, <연극 레미제라블> 등 다수의 작품에서 활동해오고 있다.
신인상의 김 현씨는 1993년 <극단 모시는 사람들>에 입단해 <달빛속으로 가다>, <소풍>, <오아시스 세탁소 습격사건>외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면서 연기력을 인정받은 배우다. 하지은씨는 서울예대 출신으로 <페드라의 사랑>, <세자매>, <하녀들>, <오구>, <난 집에 있었지 그리고 비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지>등을 통해 새로운 신예로 떠오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