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고용부에 따르면 이 장관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최근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와 고용불안에 대응해 각국 정부가 성장-고용-복지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를 해결하려면 일을 통한 공정한 고용·복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이 장관이 내놓은 해법이다.
이 장관은 “수혜와 부담, 권리와 의무, 성장과 고용 복지가 조화된 맞춤형 고용·복지 실현을 위해 사회안전망 확충, 정당한 급부 시스템 구축, 최저임금제의 엄격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또 “경제정책과 고용·복지정책간의 조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통해 정책이 생산과정에서 분배의 실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일자리 창출, 노동력 공급확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컨퍼런스에는 러시아 노동사회보장부 장관을 비롯해 프랑스 노동부 장관, 국제노동기구(ILO) 사무총장 등 러시아 정부의 초청을 받은 60여개국과 국제기구 노사정 대표가 참석했다.
이 장관은 러시아 일정을 마친 뒤 13일 우즈베키스탄을 방문, 아크탐 카이토브 노동사회보호부 장관과 고용허가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