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축산업 농가일수록, 경영자 젊을수록 소득 높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2-13 14: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유지승 기자=채소재배나 축산업을 하는 농가일수록 소득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소득이 많은 경영자의 나이가 더 젊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판매금액별 농어촌 마을 특성’에 따르면 2010년 현재 전국의 농촌 마을 3만5457개 중 농가당 농산물의 평균 판매금액이 5000만원 이상인 마을은 전체의 3.2%(1136개)에 불과했다. 평균 판매금액이 2500만원 미만이 80.6%로 가장 많았고, 2500만~5000만원인 곳은 16.2% 였다.

5000만원 이상 농촌 마을을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226개(19.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전북 204개(18.0%), 전남 166개(14.6%) 순이었다. 5000만원 이상 마을 비중이 전국 평균(3.2%)보다 높은 지역은 제주(12.8%), 경기(5.9%), 전북(4.1%) 등이며, 낮은 지역은 광역시(0.2%), 전남, 충남, 경북(이상 26%) 등이다.

평균 판매금액이 높은 농촌 마을일수록 전업농가나 채소․축산 농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000만원 이상 농촌 마을은 논벼(36.0%), 채소(33.3%), 축산(14.8%), 과수(9.2%) 순으로 경영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채소(17.0%포인트)와 축산(11.0%포인트)의 경우 평균보다 비중이 높았고, 논벼는 전체 평균보다 26.3%포인트나 낮았다.

판매금액이 높은 농촌마을일수록 경영자의 나이가 젊은 것으로 조사됐다. 5000만원 이상 농가 경영주의 평균 연령은 59.9세로 전체 평균(63.2세)보다 3.3세 젊었다.

55~60세의 비중이 평균보다 23.1%포인트 높지만 65세 이상 비중은 28.4%포인트 낮았다. 2000만원 미만 농가는 63.5세, 2000만~5000만원은 61.9세로, 농산물 판매금액이 높은 마을일수록 경영주의 연령이 낮았다. 5000만원 이상을 버는 농가 경영주의 경력도 33.0년으로 전체 평균인 35.6년보다 짧았다.

2010년 현재 어촌 마을 2549개 중 수산물의 평균 판매금액이 5000만원 이상인 곳은 571개(22.4%)였다. 2500만원 미만이 마을이 53.5%로 가장 많았고, 2500만~5000만원인 곳은 24.1%였다.

지역별로는 판매금액이 5000만원 이상인 어촌 마을은 전남이 244개(42.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남은 125개(21.9%), 경북 57개(10.0%) 순이었다.

5000만원 이상인 어촌 마을은 경영주의 평균 연령은 55.8세로, 전체 평균(59.6)보다 낮았다. 2500만원 미만은 61.7세, 2500만~5000만원은 57.9세였다.

판매금액이 높은 어촌 마을은 전업어가나 양식경영 비중이 높았다. 5000만원 이상 어촌 마을의 전업 어가의 비율은 50.3%로 평균(27.5%)의 배에 달했다. 양식어업을 하는 비중은 45.2%로 평균보다 19.3%포인트 높고, 어로어업은 19.3%포인트 낮은 54.8%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