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추진될 이번 사업은 중장기적인 전력피크 대응과 신재생에너지 확산의 일환으로 전개됐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지난해 5월 발표한 ‘에너지저장 기술개발 및 산업화 전략(K-ESS 2020)’의 후속조치”라며 “안정적인 전력 수급과 신재생에너지 확산이 목표”라고 말했다.
지경부에 따르면 이번 실증 사업은 수십MW 이상의 대규모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100MW급 압축공기저장시스템 실증과 세계 최대 규모(출력 기준)의 리튬이온전지 실증, 2가지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전기를 대규모로 저장하여 필요할 때 사용하는 '전력저수지'로 전력 피크를 저감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실현하는 미래 전력망의 핵심 장치를 말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필수 기술로서 태양광, 풍력 등과 같이 햇빛의 강도나 바람의 세기에 따라 출력이 불규칙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한 100MW급 압축공기저장시스템은 잉여 전력으로 공기를 대기압의 50배로 압축해 지하암반에 저장 후 이를 활용해 발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런 특성을 고려해 군산시 비응도 내 부지에 설치될 예정이다.
아울러 54MW급 리튬이온전지 실증은 기존의 소형 배터리를 적층·대형화해 전기(스마트폰 배터리 450만 개 규모, 36MWh)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향후 건설될 서남해안권 풍력단지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력망에 연계하는 데 활용될 계획이다.
정양호 기후변화에너지자원개발정책관은 “ESS는 미래의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기술”이라며 “이번 사업은 우리나라가 미래 ESS 시장을 선점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는 리튬이온전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배터리 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급속하게 성장하는 세계 ESS 시장을 선점해나가는 기틀을 마련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