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개최한 제2회 범죄피해조사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노인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란 주제의 논문에 이 같은 연구결과가 실렸다.
논문 주제에서도 알 수 있듯 연구를 진행한 김성언 경남대 경찰행정학과 교수가 애초에 세운 가설은 신체적으로 가장 취약한 노인 집단의 두려움 수준이 가장 높으리란 것이었다.
하지만 성별‧나이별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분석한 결과 34세 이하의 젊은 여성이 21.28을 기록해 가장 높은 두려움 수치를 보였다.
반면 젊은 남성은 16.64의 수치를 보여 성별 간 큰 격차가 있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두려움은 줄어들어 65세 이상 노년 남성은 14.72의 수치로 두려움을 제일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년 여성도 16.43을 기록해 남녀 격차를 좁혔다.
김 교수는 “노년층은 범죄 피해의 위험성을 낮게 해석하고 치안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범죄에 대한 매스컴의 보도에 덜 노출되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고립될수록 더 큰 두려움을 느낄 것이라는 사회 통념과 달리 독거노인이 가족과 함께 사는 노인보다 범죄에 대해 덜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김 교수는 “소수자, 소득·교육수준이 낮은 이들은 주변 환경에 대해 무감각해지는 ‘무감각화 과정’에 따라 범죄에 대한 두려움 수준이 낮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