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VDC는 초고압 직류송전시스템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되는 고압의 ‘교류전력’을 전력 변환기를 이용해 효율이 높은 ‘직류전력’으로 바꿔서 송전하는 차세대 전력망의 핵심 기술이다. 직류로 송전하게 되면 교류로 송할 때보다 전력손실이 적어 대용량∙장거리 송전에 유리하다.
글로벌 선진 중전기기 업체들도 2010년에야 이 기술의 상용화에 성공했다. 기술의 국산화 효과는 2020년까지 1조원 규모로 예상되며 세계 HVDC 시장 규모도 총 70조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효성은 12일 지식경제부의 ‘해상풍력 연계용 20MW급 전압형 HVDC 연계 기술개발’ 국책과제 개발자로 선정돼 HVDC 기술개발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효성은 오는 2016년 말까지 HVDC 기술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전압형 HVDC는 전류형 HVDC에 비해 실시간 양방향 송전, 정전시 자가 기동, 설치면적 축소 등이 가능해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기여할 전망이다.
효성은 전압형 HVDC 기술과 유사한 스태콤(STATCOM, 송배전시 손실되는 전압을 보충하고 전력운송의 안정성을 높이는 설비)을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또 국내 풍력사업의 선두주자로 5MW급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개발을 앞두고 있어 향후 HVDC 기술과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이 국내 최초로 전압형 HVDC 기술 개발 수행자로 선정된 이유다.
서남해안과 제주도 지역에서는 대규모 해상 풍력발전 단지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나, 국내 중전업체들이 아직까지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못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효성이 개발에 성공하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HVDC 기술 국산화가 가능해져 2020년까지 1조 원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가 예상된다. 이와 함께 효성은 현재 국책과제로 개발 중인 5MW급 해상풍력발전 시스템과 연계할 경우 토털 솔루션 제공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백흥건 효성 부사장(전력PU장)은 “전압형 HVDC는 최근 상용화가 시작돼 글로벌 선진업체들도 기술 개발을 진행중인 분야”라며 “전압형 HVDC 기술 국산화를 통해 우리나라가 미래 전력망 핵심기술사업분야에서 글로벌 전력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