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北도발 대비해 주말에도 비상태세

  • 김장수 내정자, 비공식 NSC 가동 동향 감시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청와대가 주말에도 비공식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가동하며 북한의 도발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청와대의 한 고위 관계자는 “현재 비상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면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를 중심으로 북한의 동향을 감시, 점검하는 비상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은 공식 일정 없이 관저에 머물면서 수시로 북한 동향 및 대응 방안과 관련한 보고를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이날 외교안보라인 장관 예정자들과 회의를 열지 않을 뿐 전날 수립된 대책을 중심으로 비공식 NSC를 계속 가동하며 북한의 움직임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한 참모는 “비상시에 NSC는 24시간 체제”라며 “중단없이 계속 가동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청와대는 전날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주재로 외교안보관련 부처 차관을 불러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었고, 김 실장 내정자 주재로 외교ㆍ통일부 장관 내정자와 주 수석이 참석한 NSC 비공식 회의를 열어 대북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청와대는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에서 북한이 감행할 수 있는 각종 유형별 도발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각 유형에 따른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 7일 새벽 연평도 포격부대를 시찰한 만큼 연평도나 백령도 등 북한과 가까운 서북도서 지역에 도발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이 지역 방어 전력 등을 점검하는 등 대책을 세웠다.

또 수도권과 주요지역 타격, 여러 지역에 대한 동시다발 타격, 4차 핵실험, 주요 시설에 대한 테러 등 각종 도발 행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대응책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북한이 감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도전 과제를 모조리 체크하고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했다”면서 “상식적인 차원의 가능성을 포함해 더욱 광범위하게 분석하고 대책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