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혜 지적 광주 새 야구장 재협상…뜨거운 논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4-03 18: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2014 시즌부터 기아타이거즈 전용구장으로 사용될 광주 새야구장 조감도

아주경제 장봉현 기자= 기아자동차에 과도한 특혜를 줬다는 감사원의 지적이 제기된 광주 새 야구장 운영권과 관련해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광주시는 무등 경기장 부지에 건립하고 있는 새 야구장의 사용·수익허가에 대해 기아차 측과 협상을 벌여 2년간 운영 후 2016년 재평가하기로 협의했다고 3일 밝혔다.

시는 회계사 변호사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한 야구장 운영손익평가위원회를 구성, 야구장 사용·수익에 대한 운영 수지를 평가해 추가 협약을 실시하기로 했다.

시와 기아차는 오는 2014년과 2015년 2시즌 경기장을 운영한 뒤 이를 평가해 2016년 재협상을 벌이게 된다.

이에 앞서 감사원은 광주시가 새 야구장의 사업비 일부(300억원)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25년간 운영권(야구장, 매점, 영화관, 주차장 등)과 광고권을 허가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은 가치평가가 낮게 이뤄진 것이라고 지적해 특혜논란이 제기됐다. 최소 154억원에서 최대 456억원의 특혜를 준 협약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지적에 시는 기아차와 2011년 12월 계약 당시 필요에 따라 재계약할 수 있다는 근거를 들어 실무논의를 벌여 운영 2년 후 재평가하기로 변경협약안을 도출해냈다.

그러나 시민단체는 기아차와의 이 같은 협약을 당장 폐기하라며 시를 압박하고 나섰다.

참여자치21은 이날 오전 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는 시민혈세로 기업에게 특혜를 준 불공정 협약을 당장 폐기하고 새로운 협약을 체결해야 한다"며 "기아차는 야구장 건립비 900억원 가운데 300억원만을 투자하고선 나머지 시민세금 분인 600억원에 대해서까지 수익을 보장받았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기아차가 재협상을 거부할 경우 감사원의 지적처럼 절차상 중대한 문제가 있는 만큼 협약 무효화를 위한 법적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지금까지 기아 측과 벌여온 재협약 협상내용도 시민들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기아차에 특혜를 준 협약과정에 대한 자체 감사와 함께 담당 공무원들에 대한 행정적 책임을 물을 것도 시에 요구했다.

참여자치21 관계자는 "광주시가 기아차에 대한 특혜의혹이 불거지자 순간을 모면하기 위해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현 무등 경기장 야구장 광고수입만 연간 13억2000만원으로 25년 동안 환산하면 광고만으로 330억원의 수입을 올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