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최창진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지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 국민영양조사자료 중 19세 이상 총 1만 96명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혈중 비타민D 수치가 높을수록 폐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핵을 앓았던 경우에는 비타민D와 폐기능의 관련성이 더욱 분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체내 비타민D의 표지자인 '혈청 25 하이드록시비타민D[25(OH)D]' 수치가 높은군인 Q4가 낮은군인 Q1에 비해 폐활량이 51mL 더 높았다.
결핵을 앓았던 경우는 비타민D가 높은군이 낮은군에 비해 폐활량이 229ml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59.6%인 6,020명이 비타민D의 혈중농도가 기준치 20ng/mL 이하로 비타민 D 부족 인것으로 나타났다.
6.3%인 636의 혈중농도는 10ng/mL 미만으로 비타민D 결핍이며, 53.3%인 5384명은 10~20ng/mL 이고, 32.4%인 3274명은 20~30 ng/mL으로 조사됐다. 오직 7.9%인 802명만이 뼈 건강을 위한 권고치인 30 ng/mL 이상이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비흡연자가 흡연자보다, 운동을 하는 사람이 하지 않는 사람보다 비타민D의 혈중농도가 높았다.
실제로 비타민D는 칼슘 흡수를 도와 어린이와 성인의 뼈와 근육건강에 주요한 영양소로 알려져 있으며, 대사증후군·심혈관질환·암·호흡기질환의 관련성도 보고되고 있다.
건강보험 심사결정자료에 따르면 2007년 이후 비타민D 결핍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7년 1800명에서 2011년 1만 6000명으로 급증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 혈중 비타민D가 연령·성별·비만·흡연·운동 등 이미 알려진 요인과는 독립적으로 폐 건강과도 연관이 있었으며, 특히 폐결핵의 병력이 있는 군에서 이러한 관련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학업이나 직장생활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 모든 연령에서 낮 시간의 야외활동이 적어 이 조차도 충족하지 못한 경우가 많은데, 폐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타민D는 현재 뼈의 건강을 기준으로 하는 30 ng/mL 보다 낮기 때문에 일광욕을 통해 체내 비타민 D를 적절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