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말초혈관질환 발견, 초음파 검사·체적혈류유량계 검사도 필요해

  • 이동연 서울대 교수팀, 장점 확인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보다 빠르고 정확한 말초혈관질환 발견을 위해서는 기존 선별검사인 ABI검사(발목상완지수)뿐 아니라, 초음파 검사와 체적혈류유량계 검사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12일 이동연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은 말초혈관질환의 선별검사로 사용되는 ABI 검사의 한계점을 규명하고 그 대안으로 초음파 및 체적혈류유량계 검사의 장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말초혈관질환은 동맥죽상경화증·버거씨병 등이 원인이 돼 다리의 혈관이 점차 좁아지거나 막혀 혈류가 제대로 통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노인층에서 발생하며, 70세 이상에서는 10명 중 2명이 이 병을 앓고 있다.

습관이 서구화 되고 고혈압·당뇨·이상지질혈증 등의 질환이 흔해짐에 따라 말초혈관질환의 국내 유병율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적절한 관리가 없을 경우 괴사가 일어나 하지를 절단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말초혈관질환에 대한 ABI 검사·초음파 검사·체적혈류유량계 검사의 민감도(실제 A질환이 있는데 해당 검사를 통해 A 질환을 발견할 수 있는 비율)를 비교했다.

이를 위해 지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초혈관질환이 의심돼 컴퓨터 단층촬영(CT)·ABI 검사·초음파 검사·체적혈류유량계 검사를 모두 받은 97명의 환자 다리(194개)를 분석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다리 194개 중 84%(163개)에서 CT 검사 상 말초혈관질환이 있는 것으로 확진됐다. 연구팀은 ABI 검사·초음파 검사·체적혈류유량계 검사가 CT 검사로 확진된 다리의 말초혈관질환을 얼마나 잘 발견했는지도 관찰했다.

그 결과 ABI 검사의 민감도는 69.3%, 체적혈류유량계 검사는 81.6%, 초음파 검사는 90.8% 로 나타났다.

특히 무릎 아래 혈관이 막히는 초기 말초혈관 폐색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경우 ABI 검사 보다 초음파 검사와 체적혈류유량계 검사가 더 효과적이었다. ABI 검사의 민감도는 15%인 반면, 체적혈류유량계 검사와 초음파 검사는 각각 67%와 92%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초음파 검사와 체적혈류유량계 검사는 실제 혈관을 따라 혈류 파동을 정량적으로 관찰하고 말초혈관의 끝부분인 발가락의 혈류변화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ABI 검사를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동연 교수는 "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면 운동 요법·투약·간단한 시술만으로도 증상의 개선을 꾀할 수 있기 때문에 초음파 및 체적혈류유량계 검사는 초기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검사시간이 20분으로 짧고, 환자에게 무해하기 때문에 앞으로 이를 통해 고통을 받는 많은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