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용회복 지원제도 이용자들도 올해 4분기부터 일반 연체자처럼 일정기간이 지나면 신용등급 평가상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
일반 대출자의 연체정보는 은행연합회에 7년간 기록됐다 자동 해제된다. 신용평가사(CB)는 이후 5년간 이 정보를 활용해 개인 신용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희망모아 등 신용회복 지원을 이용했다 연체한 개인의 정보는 CB사가 계속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랜 기간이 지나도 신용등급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금감원은 CB사의 신용회복 채무정보 활용기간을 연체정보처럼 최장 12년으로 제한하고, 활용기간이 끝나면 금융회사와의 정보공유도 함께 종료하도록 했다.
개선 대상은 희망모아, 상록수, 한마음 금융 등 2000년대 초반 카드사태 이후 도입된 신용회복 지원제도 이용자들이다.
한편 금감원이 6월 말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개선된 제도를 통해 신용등급이 7등급 이하에서 6등급 이상으로 상승하는 사람은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서 4만9000명(이용자의 6.3%), 서울신용평가정보에서 9000명(1.6%) 가량으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