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감독원이 새누리당 박대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업카드사 6곳은 지난해 VVIP카드 운영으로 23억2200만원의 손실을 봤다.
이들 카드사가 VVIP카드로 벌어들인 돈은 128억3800만원이었지만, 과도한 마케팅과 부가서비스 제공 등으로 인해 151억6000만원의 비용이 들었기 때문이다.
VVIP카드는 연회비가 100만~200만원 정도로 일반 카드에 비해 비싸지만, 연회비의 몇 배에 달하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신한카드는 VVIP카드 운영으로 17억5900만원의 적자를 내 손실이 가장 컸고 삼성카드, KB국민카드, 하나SK카드도 적자를 봤다.
지난해 VVIP카드 신규발급이 비교적 적었던 현대카드와 롯데카드는 각각 1100만원과 9500만원의 흑자로, 겨우 손실을 면했다.
금감원은 올해 VVIP카드를 집중 점검했고, 최근 이 카드 운영에 따른 손익 점검을 카드사에 강력히 요청했다.
이들 카드사가 VVIP카드에 막대한 혜택을 주고, 그 손실을 일반 고객이 사용한 고금리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를 통해 메우는 관행을 막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카드사들은 VVIP카드의 일부 혜택을 줄이고 있다. 삼성카드는 올해 12월부터 VVIP용 '라움 카드' 혜택 가운데 지난해 1400만원이 들었던 '삼성화재 트래블마스터 보험' 혜택을 없앴다.
신한카드도 지난 6월 '더 프리미어 카드'의 무료 사망보장 보험 서비스를 중단했다. 금감원은 "대부분 카드사가 올해 VVIP카드 혜택 축소를 신청해, 내년 초에는 과도한 부가서비스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