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래의 OK시골> “집을 모시고 살려 지었습니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0-30 17: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전원주택을 짓는 사람들 중 가족들이 편히 살려는 것이 아니라 모시려고 짓는 사람들도 개중에는 있다.

나무집을 지은 사람들 중에는 살면서, 집을 짓는데 쓰인 나무가 갈라진다든가 아니면 자재의 이음새가 벌어진다든가 하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는다. 나무는 갈라지게 돼 있고 이어붙인 부분에는 자국이 남게 된다. 시공업체들 중에는 집을 짓고 난 후 건축주와 이런 이유로 다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나무는 당연히 갈라지는 것이니 이해를 해야 한다며 설명하느라 진땀을 뺀다.

갈라지고 자국이 생기는 것을 용납하지 못하는 것은 시멘트와 아파트 문화에 익숙하기 때문이란 생각이 든다. 거기에 집을 편안한 공간으로 대하지 못하고, 잘 지키고 간직해야 하는 공간으로 여기는 이유일 수도 있다.

전원주택을 짓는 데 사용하는 자재는 자연친화적인 소재가 많다. 나무를 쓰고 황토도 사용한다. 시멘트와 같이 단단하고 반듯하게 떨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이런 자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좀 거칠고 불규칙하다는 것을 용납할 수 있는 여유로움이 있어야 나무집이나 황토집에 살 수 있고 전원생활도 편하게 할 수 있다.

집은 사용하면 당연히 닳고 망가지는 것을 이해할 여유도 있어야 한다. 집은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좋은 집이다. 집이 우선이 아니라 사는 사람이 우선이고 생활이 우선이 돼야한다.

집을 편히 살기 위해 지은 것인지, 모시고 살려는 것인지를 착각하게 하는 사람들도 있다. 특히 비싼 집을 지은 사람들 중에는 모시고 살려 집을 지은 사람들이 많다. 나무가 갈라지거나 틈이 생기는 것도 못 견뎌하고, 벽에 못 하나 박는 것도 두렵다. 비뚤어지면 바로 고치거나 새 것으로 갈아야 하고 금방이라도 그 집이 어떻게 될까 조마조마 사는 사람들도 있다.

집은 가족들의 손때가 묻고 가족들의 생활 흔적이 배어 있어야 진정한 집이다. 모셔두고 쳐다만 본다면 집이 아니다. 집을 지어 서랍 속에 넣어두지 말고 구석구석 닳을 때까지 가족들이 편하게 살아야 한다. 살면서 마루 바닥이 긁혀도 마음이 편하고, 벽에 김치국물로 자국이 생겨도 덜 아깝고, 나무에 금이 가도 속상하지 않는 그런 집이 편하게 살 수 있는 집이다. 친구들이 놀러 와 막걸리 자국을 남겨도 편하고 손자들이 놀다 벽에 흠집을 내도 아깝지 않게 넘어갈 수 있는 집이 바로 좋은 집이다.

어디 하나 망가질까봐 늘 조마조마 해 한다면 그것은 모시고 사는 집이다. 가족들이 편하게 살 수 있는 집, 그런 전원주택이 좋다.

김경래 OK시골 대표/www.oksigol.co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