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농어촌> 정부 "안정적인 귀농·귀촌 정착 돕는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11 14: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1955~1963년 베이비부머의 은퇴자와 전원생활을 꿈꾸는 도시민의 귀농·귀촌이 매년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 880호에 그쳤던 귀농 귀촌 규모는 2005년에는 1240호, 2009년에는 4080호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무려 2만7000호로 급증했다.

정부는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위해 △초기 정착을 위한 주택·농지 지원 △지역민과의 갈등 해결 등을 위한 귀농·귀촌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에 따르면 2017년까지 매년 귀농·귀촌 가구 수를 3만호로 유지하기 위해 창업자금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 7월부터 창업(주택구입)자금 융자사업의 지원조건을 완화해 다른 정책자금을 받은 경우에도 최고 2억4000만원(창업 2억원, 주택 4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도록 지침을 바꿨다. 낙농분야는 우유 생산 쿼터와 고정 판매처를 확보한 경우 기존 5000만원에서 2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또 귀농희망자가 1∼2년 동안 가족과 함께 체류하면서 농촌이해, 농촌적응, 창업과정 실습 등 체험기회와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를 매년 2곳을 건립한다.

올해는 충북 제천과 경북 영주에 센터를 조성중이며 내년 하반기 중에는 입주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전국의 빈집현황과 한국농어촌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임차농지 등 귀농귀촌종합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귀농·귀촌 창업박람회 개최, 찾아가는 맞춤형 귀농ㆍ귀촌 홍보 등을 통해 귀농ㆍ귀촌에 관심을 갖고 있는 예비 귀농ㆍ귀촌인의 다양한 정보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귀촌·귀농의 가장 큰 걸림돌인 지역민과의 갈등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하고, 귀농에 성공한 사람들을 '코디네이터', '현장지도교수' 등으로 활용해 안정적 정착을 돕기로 했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창업박람회 등 홍보수단을 동원해 귀농·귀촌 붐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귀농귀촌 활성화 방안이 도시민과 이미 농촌으로 이주한 귀농·귀촌인의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농촌 정착에 도움되길 바란다”며 “농촌인력문제를 완화하고 농촌활력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