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는 우리 경제의 서비스화가 진전되고 창조경제의 많은 모델이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삼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서비스 혁신 역량은 선진국대비 상당히 낙후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 서비스업의 노동 생산성은 EU 27개국 대비 69%(2010년) 수준이며, 지식 서비스 업종의 창업률 또한 4년 연속 하락세, 2009년 23.6%에서 지난해 21.3%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다른 회사가 개발한 기술에 동영상 공유라는 편의성을 더해 성공한 유튜브를 예로 들면서 서비스 혁신을 위해서는 기술보다는 경제성을 확보한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1개 글로벌 기업의 서비스 혁신사례 분석에 기반해 서비스 혁신 5대 키워드를 제시했다.
운전만 해도 도로위의 포트홀(구멍)이 자동으로 신고되도록 한 스트릿범프(streetbump),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보급해 시장에 침투한 후 광고 수익 모델을 수립한 프랙티스퓨전(practice fusion), 환자들의 정보 교환 커뮤니티에 축적되는 투약 정보를 사전 동의하에 제약회사에 신약개발 정보로 판매하는 페이션츠라이크미(patientslikeme) 등을 우리 중소기업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서비스 사업모델의 사례들로 보고서는 소개했다.
박필재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서비스 혁신을 위해선 과감한 재정·세제 지원을 통해 민간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를 유인해야 하며, 현지시장 정보에 편중돼 있는 기업지원 기관의 해외 정보 제공범위를 참신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