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는 7일 최근 정부가 제안한 이산가족 상봉을 북한이 금강산 관광과 연계시킬 가능성에 대해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제의에 어떻게 반응할지 지켜보는 것이 우선이겠지만 (금강산) 관광(회담)과 같이 제의할 경우 별개로 분리해서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도적 문제인 이산가족 상봉은 금강산 관광과 구분 짓겠다는 것이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도 6일 정례브리핑에서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금강산 관광 문제는 별개 사안이기 때문에 별개 사안으로 대처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북한은 지난해 8월 우리 측이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를 제의하자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을 함께 열자고 역제안한 바 있다.
따라서 이번에도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장소가 금강산이라는 점을 이용해 이산가족 문제를 금강산 관광 재개로 연결시키려는 속내를 내비칠 수 있다.
이럴 경우 정부의 (별개 문제로 분리 대응하겠다는)원칙과 충돌하면서 이산가족 상봉 문제가 진전 없이 공회전 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설을 맞아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를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10일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열자는 우리 정부의 제안에 아직 묵묵부답이다.
통일부는 이날 오전 9시께 판문점 연락관 개시 통화와 오후 4시 마감 통화에서도 북한이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는 지난 가을 상봉이 확정된 우리 측 이산가족들에게 전화로 다시 상봉 의사를 재확인하는 등 실무 준비에 돌입했다.
지난해 애초 남북이 합의한 상봉인원은 100명이었지만 현재는 약간 줄은 상태다.
통일부 당국자는 "작년 9월 상봉 연기 때 우리측에서 당초 100명이 하기로 했는데 1명이 돌아가시고 3명이 건강 때문에 포기 의사를 밝혀 당시 96명이 참석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었다"며 "이들을 대상으로 상봉 의사와 건강 문제를 다시 확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또 "상봉인원을 파악하는데 추가 결원이 생길 수도 있다"면서 "가능한 한 분이라도 더 만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최종 확인 후 100명을 채우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