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관용과 배려 부족…OECD 꼴찌 수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08 10: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사회통합력, 하위권에 머물러…경제 발전 수준 지표는 상승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우리나라의 사회통합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0ECD) 30개 회원국 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용' 부분은 꼴찌 수준에 머물렀다.

한국이 진정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소득수준을 높이는 것 뿐아니라 타인에대한 관용과 존중 등을 통해 사회통합력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박명호 한국외국어대 경제학과 교수가 8일 한국경제학회에 발표한 '지표를 활용한 한국의 경제사회발전 연구: OECD 회원국과의 비교분석' 논문을 보면, 1995년 21위였던 한국의 사회통합지수는 15년 뒤인 2009년 24위로 3계단 미끄러졌다.

경제의 발전수준을 보여주는 '성장동력' 지표는 20위에서 13위로 올랐고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력을 보여주는 '환경' 지표는 24위에서 27위로 악화했다.
 

한국의 사회통합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0ECD) 30개 회원국 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용'부분은 꼴찌 수준에 머물렀다. 위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없음.


특히 사회통합지수의 경우 주요 구성항목의 순위가 줄줄이 떨어졌다. 

안전 부문(실업률, 노령자에 대한 사회지출, 노령 고용률, 도로사망률, 건강지출비율, 자살률, 10만 명당 수감자 수) 순위는 1995년 25위에서 2009년 31위로 내려가 OECD 꼴찌를 기록했다.

관용사회 부문(장애인노동자 관련 법률 수, 타인에 대한 관용, 외국인비율) 순위도 같은 기간 25위에서 31위로 내려앉았다.

안전 및 관용사회 부문은 31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뤄졌다.

자유 부문(언론자유지수, 경제자유지수)은 23위에서 26위로, 저출산·고령화 부문(출산율, 고령화 인구 비율)은 4위에서 13위로 떨어졌다.

복지지출과 지니계수로 보여주는 복지·분배 부문 순위는 27위로 15년 전(28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