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의학원, 난치성 재발암 방사선 표적치료 나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08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요오드 리툭시맙으로 원자력병원에서 치료받은 비호지킨림프종환자의 PET 스캔 사진. 치료받기 전 PET 사진(A)에서 보이던 전신의 림프절에 다발성으로 재발한 종양들(검은 부분, 화살표)이 반복된 치료를 통해 PET 사진(B,C)과 같이 없어지고 있음. 4회 치료 후 시행한 PET 사진(D)에서는 복부내의 림프종이 거의 사라졌다.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한국원자력의학원은 난치성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사면역치료의 연구자 임상시험에서 기존 치료의 3배 이상 치료효과를 확인하고 신규 임상시험을 기획중이라고 8일 밝혔다.

방사면역치료란 방사선치료의 효과와 표적항체에 의한 면역작용의 효과가 결합한 치료를 말한다.

표적항체를 이용해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고 정상세포에 미치는 방사선 영향을 최소화해 암 치료에 높은 효과를 보이는 첨단 방사선치료 분야다.

원자력병원 혈액암센터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유기술로 제작한 방사면역치료제 요오드 리툭시맙(131I-rituximab)으로 난치성 림프종 환자를 치료해왔고 재발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한 결과 1회 치료로 12%의 완전 관해율을 확인했다.

관해율은 질병이 모두 없어지는 반응확률을 말한다.

또 6회 반복치료를 통해 기존 치료의 3.5배에 달하는 치료반응을 얻었다.

연구는 미래부 방사선중개연구 활성화지원사업 지원을 받아 CD20 항원이 양성인 B세포 림프종 환자에서 요오드 리툭시맙 치료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자임상시험을 진행 한 결과 기존치료에 실패한 재발성  난치성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1회 치료만으로도 29%의 객관적인 반응율과 12%의 완전관해율을 얻은 결과를 2011년 아시아태평양 임상암학회지에 보고한 바 있다.

객관적인 반응률은 암종의 직경이 50% 이상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2012년 미국 마이매이에서 열린 미국핵의학회에서는 방사면역치료를 최대 6차례 반복하여 치료함으로서 치료반응을 3배 이상 끌어 올릴 수 있음을 발표했고 결과는 독일에서 발행되는 암 화학요법과 약리학 잡지에 출간돼 원자력병원에서 방사면역치료를 받은 림프종환자의 PET 스캔 결과를 통해 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했다.

방사면역치료는 난치성 암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는 차세대 치료기술로 불리지만 임상시험 절차 등 규제로 인해 국내의 난치성 암환자에게 확대 적용이 어려운 실상이다.

원자력병원 혈액암센터 강혜진.임상무 박사팀은 “뉴욕의 메모리얼 슬론-케터링 암센터 등에서는 방사선면역치료가 국내보다 훨씬 보편화 되어 있고 높은 치료효과를 보고 있어 국내 환자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졌으면 하는 생각을 많이 했다”며 “현재 새로운 방사성동위원소 및 새로운 기법을 이용한 많은 방사선면역치료 임상시험을 기획 중“이라고 밝혔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방사면역치료를 위한 치료제 제조 및 임상시험 기반을 갖추고 있고 현재 국내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신개념 치료기술개발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의학원은 방사면역치료 등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치료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암환자 생존율 향상 및 치료기간 단축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관련 치료제 개발 및 임상 연구에 따른 국내 제약 산업 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