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울산 반구대 암각화 투명 물막이 (카이네틱 댐) 시설에 대한 타당성 심의가 보류됐다. '카이네틱댐'은 암각화 보호를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제안한 시설이다.
문화재위원회 건축문화재분과(위원장 김동욱)는 16일 오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회의를 열어 울산시(울주군)가 제안한 투명 물막이 시설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심의를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동욱 위원장은 "가칭 가변형 투명 물막이 시설은 한시적인 시설물이어야 하므로 한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제출할 것"과 "동 건에 대한 안전성 및 시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전 검증 계획을 제출할 것" 등 두 가지를 울산시에 요구했다.
김 위원장은 이같은 결정 사항을 전하면서 이런 투명 물막이 시설이 "반구대 암각화 앞에 영구시설로 설치되는 데 대해서는 건축분과위원회에서는 지배적인 반대 의견"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투명 물막이 시설은 한시적으로 설치한다는 전제 아래(이와 관련한) 몇 가지 보완 사항을 (울산시에서) 받아서 앞으로 검토한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 안건은 울산시에서 보완 사항이 제출되면 최종적으로는 건축분과가 아니라 관련 분과와의 합동분과를 개최해서 결정하게 될 것 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울산시가 제출한 물막이 규모는 길이 55m, 폭 16~20m, 높이 16m이며, 올해 10월까지 설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었다.
애초 울산시는 길이 40m 규모의 물막이 시설을 계획했지만, 최근 실시한 암각화 전면 암반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공룡 발자국 화석이 다수 발견됨에 따라 규모를 늘렸다.
문화재청은 문화재위원회 심의 결과를 울산광역시(울주군)에 회신하고, 요청 자료가 제출되면 다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칠 예정이다.
▶(카이네틱댐) 가변형 투명 물막이= 침수로 훼손되는 반구대 암각화의 보존을 위하여 지난해 6월 국무조정실,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과 울산광역시가 ‘가변형 투명 물막이’ 설치 추진 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말까지 울산광역시의 ‘기초조사’와 국무조정실의 ‘기술평가’를 추진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