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2/14/20140214111459120109.png)
남북이 14일 오전 10시께 판문점 우리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고위급 접촉을 재개했다.
특히 한미연합군사훈련인 키 리졸브를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이후로 연기하라고 요구하면서 "군사 훈련 기간에 상봉 행사는 개최할 수 없다는 것이 원칙적 입장"이라고 밝힌 북한의 입장 변화 여부가 주목된다.
북한이 1차 접촉 당시의 입장을 고수하면 오는 20∼25일 금강산에서 갖기로 합의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파행 또는 무산될 수 있다.
우리측은 이산가족 상봉과 군사훈련 연계를 반대하며 북한의 키 리졸브 연습 연기 요구를 거부한 상태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한미 군사훈련 문제는 전혀 별개사안으로 연계될 수 없다는 정부의 입장은 확고하다"며 "(오늘 고위급 접촉) 의제는 지난 접촉에서 의견이 좁혀지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논의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어떤 일이 있더라도 이산상봉이 무산돼 이산가족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일은 없도록 하겠다"며 "군사훈련 때문에 이산가족 상봉이 방해를 받거나, 이산가족 상봉 때문에 훈련에 지장이 빚어지는 일은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대변인은 "군사훈련과 이산상봉 둘 다 양보할 수 없는 것인만큼 두 사안 모두 관철할 것이라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틀 만에 다시 만나는 양측이 이번 협의를 통해 절충안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 관심이다.
양측 수석대표는 모두 바뀌지 않은 상태로, 우리측에서 김규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이, 북측에서는 원동연 노동당 통일전선부 부부장이 각각 수석대표를 맡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