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예금은행의 평균 명목 대출금리(한국은행의 가중평균 금리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64%로 전년(5.40%)보다 낮아졌다.
그러나 명목 대출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 대출금리는 3.20%에서 3.30%로 올라갔다. 이는 2007년(4.10%) 이후 최고치다. 실질 대출금리는 2011년 1.80%를 저점으로 2년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실질 대출금리가 높아진 이유는 지난해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금리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 2011년 말 4.0%였던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2년 말 2.2%, 지난해 말 1.3%로 낮아졌다.
지난해 말 은행 대출이 있는 채무자의 잔액 기준 실질 대출금리도 3.42%를 기록해 2012년 말(3.11%)이나 2011년 말(2.01%)보다 높다. 이 역시 2007년 말(4.66%) 이후 최고 수준이다.
예금금리나 시장금리도 실질 기준으로는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정기예금의 실질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2011년 마이너스(-0.31%)에서 2011년 플러스(1.23%)로 전환하고 작년에는 1.40%로 상승했다. 시장금리(국고채 3년물 기준)도 같은 기간 -0.30%에서 0.93%, 1.49%로 높아졌다.
저금리로 인한 이자 감소를 저물가가 상쇄시키고 있는 셈이다.
다만 자산이 적고 부채가 많은 저소득층으로서는 불리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등으로 향후 시중금리가 오르게 되면 이들의 채무상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