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통신은 24일 일본유신회 소속 야마다 히로시 중의원이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가 끝난 뒤 아베 총리가 자신에게 고노담화 검증문제에 대해 "시기를 놓치지 말고 논의를 진지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야마다 의원은 아베 총리가 자신에게 최근 일부 언론의 여론조사에서 고노담화 수정에 대한 찬성 여론이 과반을 넘은 것은 "(당신의) 질문 덕분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야마다 의원은 지난 20일 국회에서 고노담화 검증에 대해 거듭 질문해 '검토하겠다'는 답을 이끌어 낸 바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20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고노담화의 근거가 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청취조사의 신빙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3국의 학자를 포함해 재검증해야 하지 않느냐는 야마다 의원의 질의에 "학술적인 관점에서 더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관방장관에 이어 일본의 최고지도자인 아베 총리까지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검증, 다시 말해 수정하겠다는 의욕을 보임에 따라 이를 둘러싼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산케이신문 인터넷판은 FNN(후지뉴스네트워크)과 함께 22∼23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고노담화에 대해 58.6%가 '수정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산케이신문이 전형적인 일본 보수 우익 신문인 것을 고려할 때 이 여론조사 자체가 객관적으로 이뤄졌는 지에 대한 의구심도 나온다.
야마다 의원은 지난 20일 국회에서 고노담화 검증에 대해 거듭 질문해 '검토하겠다'는 답을 이끌어 낸 바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20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고노담화의 근거가 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청취조사의 신빙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3국의 학자를 포함해 재검증해야 하지 않느냐는 야마다 의원의 질의에 "학술적인 관점에서 더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관방장관에 이어 일본의 최고지도자인 아베 총리까지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검증, 다시 말해 수정하겠다는 의욕을 보임에 따라 이를 둘러싼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산케이신문 인터넷판은 FNN(후지뉴스네트워크)과 함께 22∼23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고노담화에 대해 58.6%가 '수정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산케이신문이 전형적인 일본 보수 우익 신문인 것을 고려할 때 이 여론조사 자체가 객관적으로 이뤄졌는 지에 대한 의구심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