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04/20140304165715236787.jpg)
아주경제 권이상 기자 = 서울 강남·북 주택시장이 큰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시장 과열기에 도입된 재건축 규제를 대폭 완화한다는 정부 방침이 나오면서 재건축아파트가 몰려 있는 서울 강남권(강남·강동·서초·송파구) 부동산시장은 기대감으로 들썩이고 있다. 그러나 재건축 규제완화 수혜에서 벗어난 주요 강북권(강북·서대문·용산·종로구 등) 아파트의 시세는 하락세 또는 보합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에서는 강남권과 비강남권의 양극화 심화 등 정부 대책의 역효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4일 부동산114와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혜택을 볼 수 있는 서울의 재건축단지는 총 6만 6335가구에 이른다.
그러나 이 중 약 80%(5만 2293가구)가 강남권에 몰려 있어 정부가 올 들어 처음 내놓은 부동산대책의 대상이 강남권 시장을 겨냥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수준이다.
이로 인해 지난달 강남권 아파트 시세는 큰 폭으로 뛰었다. 강남구(0.98%), 강동구(0.47%), 서초구(0.48%), 송파구(0.79%) 모두 평균 0.50% 안팎의 시세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의 경우 지난 1월 평균 매매 호가(주인이 부르는 값)는 7억 9250만원이었으나 지난달에는 8억 3000만원까지 올랐다.
강남구 A공인 관계자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는 사실상 재건축사업에 큰 힘을 실어준 셈"이라며 "그동안 재건축사업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사업에 속도를 내지 못했던 곳이 많았던 만큼 앞으로 거래도 활성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비해 강북권에서는 이 같은 분위기를 전혀 감지할 수 없다. 지난달 강북구(0.03%), 서대문구(-0.04%), 종로구(-0.29%), 성동구(-0.09%), 용산구(-0.31%)는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다.
아파트 거래 신고건수에서도 강남권과 강북권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4일까지 아파트 거래 신고건수는 강남구 657건, 서초구 427건, 송파구 516건으로 집계됐다. 반면 강북권은 강북구 113건, 서대문구 177건, 용산구 197건, 종로구 56건으로 강남권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종로구 B공인 관계자는 "강북권의 경우 급매물이 아니면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번 규제완화책은 강남 주택시장을 띄우려는 모습으로만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강남권에 불기 시작한 훈풍이 강북권으로 번지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지역 양극화 현상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도 덧붙였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서울 전셋값 상승으로 무주택 서민들은 수도권 분양시장에, 투자자들은 강남권 주택시장에 초점이 맞춰진 상태로, 강북권은 소외받고 있는 실정"이라며 "강북권의 핵심 호재인 뉴타운ㆍ재개발이 연일 해제되고 있어 강남권과의 양극화 현상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