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www.yoons.com)이 윤스맘 커뮤니티에서 초등 학부모 517명을 대상으로 3월 6일부터 11일까지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69.8%가 ‘선행학습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선행학습을 한 기관은 ‘사교육’이 91.4%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공교육’은 8.6%였다.
사교육 중에서는 ‘학습지’(43.3%)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학원’(29.1%)과 ‘개인과외’(10.3%)가 뒤를 이었다. ‘공부방’(7.0%)과 ‘온라인학습’(6.4%)을 한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 같은 사교육 유형을 선택을 한 이유(복수응답)로는 ‘학습시간 선택이 자유로워서’(84.2%)를 주로 들었다. 이외에도 ‘아이의 성향과 맞아서’(16.4%), ‘학습성과가 좋아서’(14.2%), ‘아이의 안전이 안심되어서’(14.2%), ‘경제적인 이유로’(8.2%) 등이 있었다.
선행학습을 경험한 과목(복수응답)은 인당 평균 2과목으로 집계됐는데, ‘영어’(80.6%)와 ‘수학’(74.8%)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국어’(31.6%)가 뒤를 이었다.
선행학습 진도는 정규교육에 비해 평균 6.2개월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6개월~1년’(28.0%), ‘1개월~3개월’(24.7%), ‘3개월~6개월’(20.2%), ‘1년 이상’(18.0%), ‘1개월 미만’(9.1%) 순을 보였다.
선행학습을 하는 이유(복수응답)는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갈렸다. 능동적 이유로는 ‘내신성적을 잘 받기 위해’(43.2%)와 ‘아이가 스스로 원해서’(13.0%)를 꼽았고, 수동적 이유로는 ‘주변에 안하는 사람이 없어서’(31.0%)와 ‘학교∙학원 등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므로’(29.6%)를 들었다.
반면, 선행학습을 시키지 않는 학부모 156명은 그 이유(복수응답)로 ‘아이에게 학습에 대한 압박을 주기 싫어서’(68.6%)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선행학습을 시키지 않아도 만족할 만큼 잘해서’(23.1%),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어서’(13.5%), ‘아이가 하기 싫어해서’(10.3%) 등의 순을 나타냈다.
한편, 현재 자녀에게 시키고 있는 사교육 유형과 학부모가 지향하는 사교육 프로그램은 차이를 보였다. 학부모들은 ‘독서∙토론∙지능개발 등 학교수업 외 프로그램’(37.7%)을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으며, ‘피아노∙태권도 등 취미 프로그램’(32.1%), ‘국어∙영어∙수학 등 학교 정규수업과 연계된 프로그램’(25.1%)이 뒤를 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