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동결' 결정은 시장에서도 예상하던 바였다. 대외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 지속 등 경제여건이 지난달과 크게 다르지 않고, 총재 퇴임을 앞둔 상황에서 금리를 변동한 전례가 없다는 것이 배경이 됐다.
지난달까지 시장의 혼란을 키웠던, 미국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따른 신흥국의 금융불안은 다소 잦아든 상태다. 그러나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 신흥국의 정정불안이 고조되면서 불확실성은 이어지고 있다.
추가 테이퍼링에 따라 금융불안 문제가 다시 커질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하는 데다, 중국의 경제 둔화 등도 글로벌 경제상황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처럼 대외 경제의 불안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통화정책을 변경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금리 결정에 무엇보다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기의 회복세가 이어지는 양상도 동결 요인으로 꼽힌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1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보다 0.1% 증가했고 서비스업 생산 역시 0.9% 늘었다. 소매판매도 2.4% 증가해 34개월만에 최대 규모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전월 56만명에서 70만5000명으로 뛰었다.
반면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4.5% 감소했다.
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기대비 1.0% 상승해 안정적 수준을 유지했고, 같은 기간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6% 증가했다.
경제지표만 보면 금리 인상을 검토해야 할 단계로 보이나 아직은 '미약한' 상태라는 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소비는 증가했으나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아직까지 민간부문은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보기가 이르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100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도 금리의 발목을 잡는다.
금통위가 이번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이 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관망' 기조를 이어가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999년 통화량 중심에서 금리 중심으로 통화정책 운용방식이 바뀐 이후부터 총재가 퇴임을 앞둔 달에 기준금리가 변경된 적은 한번도 없었다.
시장에서는 대내외 경제 상황을 감안해, 이주열 차기 총재후보가 공식 취임하더라도 당분간 기준금리 동결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전문가 124명을 대상으로 이달 기준금리 결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9.2%가 '동결'을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