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2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기도 했지만 중소기업청과 한국벤처투자는 총 5470억원을 출자해 지난해 1조 5374억원보다 30% 늘어난 2조원대로 벤처펀드 규모를 확정했다.
정부의 재정은 '모태펀드(Fund of Funds)'를 통해 지원된다.
일단 시장에서는 구체적인 계획이 제시됐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현 정부는 출범 이후 중소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줄곧 육성책 마련과 혜택 지원, 해당 기업들의 자구책 노력 등을 강조해왔다.
그중 지난해 발표된 성장사다리 구축과 중견기업법 등에 이어 이번 벤처펀드 조성으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실천을 위한 핵심요소 중 하나인 벤처투자 확대 붐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기대가 큰 만큼 우려도 적지 않다.
특히 벤처펀드의 수요자라 할 수 있는 중소기업과 벤처펀드의 주요 공급역할을 담당할 벤처캐피털(VC) 등에서는 벌써부터 현실성과 실효성을 두고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한 VC 임원은 "기획과 의도 자체는 훌륭하다. 적재적소에 필요한 요소들도 갖췄다고 본다. 다만 아직까지도 투자자들이 벤처펀드 출자에 대해 의문을 갖고 소극적인 자세를 취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정부가 올해 모태펀드 출자규모를 크게 늘리기는 했지만 대기업 및 벤처기업, 개인출자자의 자율적 출자유도 만으로 3000억원에 달하는 나머지 금액을 채우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어 "최근 정부가 벤처 및 창업 붐 조성에 힘쓰는 것은 알겠지만 지나치게 숫자에 함몰되거나 보여주기식 정책 남발로 이어지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여전히 산재해 있는 규제를 풀고 투자자들이 자신있게 사업에 동참할 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 주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표시했다.
해외진출(1700억)ㆍ청년창업(1000억)ㆍ외자유치(1000억)ㆍ중견기업(800억)ㆍ한국형 요즈마(500억)에 비해 상대적 약자인 지방ㆍ재기ㆍ여성기업 펀드의 규모가 작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이날 중기청이 공개한 2013년도 벤처펀드 투자 성공사례의 경우, 사모펀드의 특성상 일부만 공개됐지만 예시가 된 기업 4곳이 모두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경남에서 IT 관련 벤처기업을 운영하는 한 대표는 "총 1000억원 규모의 지방 벤처펀드가 조성된다고 하지만 타 펀드에 비해서는 그 규모가 여전히 작다. 지방 사업자들이 '벤처기업도 수도권 아니면 안되는구나'하는 박탈감을 느끼면 벤처생태계가 풍성해질 수 없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